2022_세계문화와영어

skin color and language differences from a very early age. Q2. The show aims to help children grow up with a healthy self-identity and sense of belonging. Q3. electronic Q4. Consumers may occasionally discontinue purchasing products from those companies. After You Read p. 122 A (1) social skills (2) accepting (3) popularity (4) recognized (5) governance (6) commitment B 1. T 2. T 3. F 4. F C Q1. [A] commitment to protecting the environment [B] deceiving and misleading consumers with green claims Q2. Case 1- [B] / Case 2- [A] Language Focus p. 124 A 2. diversity 3. embrace 4. evaluate 5. promising 6. sensational 7. viral B 1. When it comes to 2. have to do with 3. come up with D 1. have I heard 2. does Cameron smile a lot 3. No sooner did we arrive at the restaurant Wrap Up p. 130 A ⓑ B ⓔ Culture in Art p. 131 Q1. 예시답안 Stop looking at your smartphone and come outside to play. Q2. 예시답안 A boy in 1996 played by flying a kite, but a girl in 2026 plays by flying a drone. UNIT 6 Inventions and World Cultures Viewing and Watching p. 134 A 예시답안 Blue jeans were invented by Levi Strauss and Jacob Davis in the US in the 19th century for laborers. World knowledge about the activity Cultural Dynamics through human invention (인류의 발명을 통한 문화의 역동성) 대한민국의 가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한순간을 묘사하고 있는 이 그림에서 우리는 전 세계 다양한 인류의 문화가 시간 과 공간의 한계를 넘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새로운 문 화를 창조해 내는 역동성이 있음을 엿볼 수 있다. 1. 하이힐: 하이힐의 역사는 기원전 3500년경 고대 이집트 문 명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집트의 도축업자들은 동물의 피를 다루는 작업 중에 발을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기 위해 하이힐을 신었다. 9세기경 페르시아 전사들 또한 하이 힐을 신었는데, 그들에게 하이힐은 말을 탈 때 안장의 등자 ( 鐙子 )에 발을 고정하는 데 효율적이었다. 하이힐을 신은 페 르시아 전사들은 말 위에서 더 효과적으로 싸울 수 있었다. 그 이후, 15세기 유럽에 전해진 하이힐은 남성들의 패션 아 이템으로 이어졌다. 특히, 17세기에 이르러 키가 163cm밖 에 되지 않았던 프랑스의 왕 루이 14세가 즐겨 신은 것으로 유명하다. 2. 커피: 커피의 기원은 에티오피아로 거슬러 올라간다. 에티 오피아의 칼디(Kaldi)라는 양치기는 어느 날 어떤 열매를 먹은 염소들이 잠을 안 자고 활력이 넘치는 것을 목격한 후 이 열매가 각성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후 사람들 은 이 열매로 음료를 만들어 마시게 되었고, 현재는 전 세계 인들이 가장 즐겨 마시는 음료, 커피가 되었다. 우리나라에 는 1880년대 궁중에서 커피를 마셨다는 기록이 등장한다. 2020년 현재 대한민국의 연간 커피 소비량은 개인당 367 잔(세계 2위)으로 조사되었다. 3. 카펫: 인간은 석기시대부터 바닥의 보온과 습기 차단을 목 172 I Appendices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