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중등한문

한문의 이해 다음 문장을 토에 유의하여 바르게 읽어 보자. (1) 來言不美 한데 去言何美 리오? (2) 事雖小 라도 不作 이면 不成 이라. 0 3 다음 문장을 문장의 유형에 유의하여 풀이해 보자. (1) 愛人者 는 人恒愛之 라. (2) 己所不欲 을 勿施於人 하라. 0 4 다음 문장을 밑줄 친 한자의 쓰임에 유의하여 풀이 해 보자. 以責人之心 으로 責己 하고, 以恕己之 心 으로 恕人 하라. 0 2 마무리 평가 ㉠ 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써 보자. 0 1 다음 조건 에 따라 자신의 생각을 글로 써 보자. 조 건 1. 재난 관련 영화나 책을 찾아본다. 2. 영화나 책 속에서 문제 상황을 발견한다. 3. 문제 해결을 위한 자신의 주장을 성어나 한문 문장을 활용하여 쓴다. 4. 자신의 의견과 친구들의 의견을 비교해 본다. <어휘의 뜻> 가로: 사랑하는 마음. 세로: 형제간 또는 친구 간 의사랑이나정분. 友 情 ㉠ 품사의 종류 실사 : 단독으로 의미를 가지는 품사(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 허사 : 단독으로 의미를 가지지 못하는 품사(개사, 접속사, 어조사, 감탄사). 문장의 구조 주술목 구조 : 주어, 서술어, 목적어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예 己 (주어) 百 (서술어) 之 (목적어) . 문장의 유형 평서문 : 화자가 청자에게 특별히 요구하는 바 없이 하고 싶은 말을 단순하게 진술하는 문장이다. 예 愛人者 , 人恒愛之 . 명령문 :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구하거나 요청하는 문장이다. 예 己所不欲 , 勿施於人 . 토( 吐 )란? 한문을 읽을 때 끊어 읽는 곳에 붙이는 우리말로 된 조사나 어미를 말한다. IV. 짧은 말, 큰 울림 86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