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중등한문
事雖小 , 不作 , 不成 . 풀이 일이 비록 작더라도 하지 않으면 이루지 못한다. 1 2 3 5 4 7 6 雖 : 비록 ~일지라도 不 : 첫소리가 ‘ㄷ,ㅈ’인 한자 앞에서는 ‘부’로 발음. 不作 → 부작, 不成 → 불성 昨日 : 어제 過 : 지나다, 허물, 지나치다 明日 : 내일 未 ~: (아직) ~ 아니다 所 ~: ~(할) 바, ~(할) 것 爲 : 하다 只 : 다만 ~뿐이다 當日 : 그날 而 : ~해서 易 : (역) 바꾸다, (이) 쉽다 居安而思危 , 處易而思難 . 풀이 편안함에 처해서는 위태로움을 생각하고 쉬움에 머물러서는 어려움을 생각하라. 2 1 3 5 4 昨日已過 , 明日未來 , 欲有所爲 , 只在當日 . 풀이 어제는 이미 지나갔고 내일은 (아직) 오지 않았다. 하려는 것이 있으면 다만 그날에 있을 뿐이다. 1 2 3 4 1 2 4 3 4 3 2 1 1 4 2 3 미리 준비가 되어있지 않아 후회했던 일은? 자신이 미루고 있는 일 가운데 오늘 당장 실천해 야할 일은? 현재 자신의 미래를 위해 준비하고 있는 것은? 能 : 잘하다 人 : 남 ↔ 己 : 자기 百 , 千 : 수백, 수천의 많은 수 人一能之 , 己百之 , 人十能之 , 己千之 . 풀이 남이 한 번에 (그것을) 잘하면 자신은 (그것을) 백 번 하고, 남이 열 번에 (그것 을) 잘하면 자신은 (그것을) 천 번 해야 한다. 1 2 4 3 1 3 2 문장의 구조 :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의 일정한 결합 방식을 말한다. 주술목 구조 : 주어, 서술어, 목적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문장의 구조이다. 예 己 (주어) 百 (서술어) 之 (목적어) : 자신은 (주어) 그것을 (목적어) 백 번 하다 (서술어) . 잠깐 IV. 짧은 말, 큰 울림 76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