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중등한문
事雖小 라도 不作 이면 不成 이라. “명심보감” 居安而思危 하고, 處易而思難 하라. “노봉문집” 人一能之 하면 己百之 하고, 人十能之 하면 己千之 니라. “중용” 昨日已過 하고 明日未來 라. 欲有所爲 면 只在當日 이라. “탄만집” 雖 수 비록 小 소 작다 而 이 말 잇다 危 위 위태하다 處 처 곳, 머무르다 難 난 어렵다 能 능 능하다 己 기 몸, 자기 千 천 일천 昨 작 어제 已 이 이미 過 과 지나다 未 미 아니다 欲 욕 하고자 하다 所 소 바 爲 위 하다 只 지 다만 當 당 마땅, 그 才 재 재주 自 자 스스로 限 한 한계 새로배울한자 • 명심보감( 明心寶鑑 ) : 중국 고전에 나온 선현들의 금언( 金言 )·명구( 名句 )를 편집하여 만든 책. • 노봉문집( 老峯文集 ) : 조선 후기의 문신 민정중( 閔鼎重 , 1628~1692)이 지은 시문집. • 중용( 中庸 ) : 유교 경전인 사서( 四書 )의 하나. • 탄만집( 集 ) : 조선 후기의 문인 이용휴( 李用休 , 1708~1782)가 지은 시문집. 학|습|목|표 • 문장을 바르게 풀이할 수 있다. • 문장의 구조(주술목 구조)를 구별할 수 있다. • 선인들의 삶을 이해하고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다. 학습 목표를 읽고 궁금한 점은? 10 . 비록 작은 일이라도 75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