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중등한문
한문의 이해 문장의 유형 감탄문: 사물이나 사실에서 느낌을 받아 슬픔, 기쁨, 놀라움 등의 감정을 나타내는 문장이다. 예 惜乎 애석하구나! 의문문: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하여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이다. 예 漢陽中 誰最富 한양 안에서 누가 가장 부자인가? 如 : 만약 예 如一百斤之重 必須一百斤之力 만약 백 근의 무게라면 반드시 백 근의 힘이 있어야 한다. 止 : 다만 예 今法止用一具滑車 지금의 법은 다만 한 대의 활차를 사용한다. 마무리 평가 글의 내용으로 보아 ㉡ 을 활용할 수 있는 곳을 찾 아보자. 0 2 ㉠ 을 ‘ 道 ’의 쓰임에 유의하여 풀이해 보자. 0 1 [ 0 1~ 0 2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가 直之雲從街 하여 問市中人曰 : “ 漢 陽中 에 誰最富 오?” 하니, ㉠ 有道卞氏 者 어늘 遂訪其家 라. 許生 이 長揖曰 : “ 吾家貧 이나 欲有所小試 하니, 願從 君借萬金 하노이다.” 하다. 나 今法止用一具 ㉡ 滑車 하면, 則能以 五十斤之力 으로 起一百斤之重 이니, 다음 문장이 주는 교훈을 자신의 경험과 연관지어 말해 보자. 0 4 無欲速 하고 無見小利 하라. 欲速則 不達 이요, 見小利則大事不成 이라. 다음 조건 에 알맞은 사진첩을 만들어 보자. 조 건 • 우리의 삶을 바꾼 10대 발명품 또는 역사 적 사건을 정한다. • 사진첩을 구성할 사진을 모은다. • 사진을 설명할 내용을 한자 어휘를 사용 하여 작성한다. • 사진과 내용을 잘 꾸며서 사진첩을 만 든다. • 사진첩 마지막 쪽에는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상상한 내용을 써 본다. 다음 문장의 주제를 요약할 때 ( )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보자. 0 3 心不在焉 이면, 視而不見 하고, 聽而 不聞 하며, 食而不知其味 니라. → 몸을 닦는 데에는 그 ( )을(를) 바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VIII. 명문을 새기는 시간 186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