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중등한문
생활을 편리하게 해 준 전통 기구 중에서 자신이 소개하고 싶은 것을 골라 내용을 작성해 보자. 더 알아보기 실학의 등장 함께해 보기 實學 은 17세기 中葉 부터 19세기 초반까지 나타난 사상으로 사회 경제적 變化 를 인식하고, 성리학의 한계성을 비판한 학문이다. 현실 생활과 직결되는 重且大 한 문제에 관심을 갖고, 우리의 역사·지리·언 어 등의 硏究 를 통해 민생 안정과 부국강병을 위한 개혁론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정책에 반영되지 못하고 個人 의 학문적 주장에 그쳤다는 限界 를 보였다. 다음은 실학 정신을 바탕으로 한 저작물들이다. 저작물 특징 “발해고”(유득공) 발해사를 우리 역사로 受容 . “택리지”(이중환) 지리적 환경, 경제, 風俗 을 정리. ‘동국지도’(정상기) 100리 單位 의 축척 개념을 적용하여 제작. ‘대동여지도’(김정호)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精密 하게 만든 地圖 . “성호사설”(이익) 여러 분야별로 다양한 知識 을 수록하고 고증함. 예 맷돌 곡식을 가는 데 쓰는 기구이다. 둥글넓적한 돌 두 짝을 포개고 윗돌 아가리에 곡식을 넣으 면서 손잡이를 돌려 간다. 24 . 무거운 것을 들어 올리려면 177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