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중등한문

~ 之 : ~의 語音 : 말소리 乎 ~: ~와(과) 與 ~: ~와 流通 : 통하다 爲 : 하다, 되다, 위하다 憫然 : 불쌍히 여기다 使 : ~로 하여금 …하게 하다 易 : (역) 바꾸다 (이) 쉽다. ~ 耳 :~할 따름이다, ~할 뿐 이다 終 : 마침내 不得 (부득)~: ~할 수 없다 (불 → 부) 其 : 그 ~ 矣 : ~이다. 故, 愚民, 有所欲言, 而終不得伸其情者, 多矣. 풀이 ‌그러므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할 바가 있어도 마침내 그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1 2 6 5 4 3 7 8 13 12 11 9 10 14 15 16 予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 풀이 내가 이를 위하여 불쌍히 여겨 새로 28자를 만드니 國之語音, 異乎中國, 풀이 나라의 말소리가 중국과 달라 1 2 3 4 7 6 5 뜻을 펴지 못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與文字, 不相流通, 풀이 문자와 서로 통하지 않기 때문에, 欲使人人, 易習, 便於日用耳. 풀이 사람마다 쉽게 익혀 날마다 사용하는 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4 3 1 2 5 여기서 말하는 문자는 무엇을 가리킬까? ★ 訓民正音 에 담긴 정신  중국과 우리나라의 말과 글이 서로 다르다는 차이를 인식하고 우리의 말을 표현하 는 글자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자주정신을, 어려운 문자인 한자를 알지 못하는 백성 을 배려했다는 점에서 애민 정신을,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문자로 만들었다는 점에 서 실용 정신을 살펴볼 수 있다. 주술보 구조 : 주어, 서술어, 보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문장의 구조이다. 예 國之語音 (주어) 異 (서술어) 乎中國 (보어) : 나라의 말소리가 (주어) 중국과 (보어) 다르다 (서술어) . 잠깐 VII. 우리 땅, 우리 문화 160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