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중등한문
我國諸山, 皆發源於白頭山, 至智異而盡焉. 풀이 우리나라의 모든 산은 모두 백두산에서 발원해서, 지리산에 이르러 다한다. 智異 : 지리산 於 ~: ~에서 而 : ~하여 發源 : 흐르는 물줄기가 처 음 생김. 또는 그런 것. 此島 : 울릉도와 독도를 함 께 지칭함. 독도는 울릉도에 딸린 섬으로 512년에 신라에 복속된 우리나라 영토임. 祖宗 : 한 겨레의 가장 처음 이 되는 조상. 疆土 : 국경 안에 있는 한 나라의 땅. 不可 ~: ~할 수 없다 與 : 더불어, 주다, 참여하다 此島, 高麗得之於新羅, 풀이 이 섬은, 고려가 그것을 신라에서 얻었고, 元 : 으뜸, 원래 元非日本之地. 풀이 원래 일본의 땅이 아니다. 祖宗疆土, 不可與之. 풀이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땅은 그들에게 줄 수 없다. ‘ 發源 ’과 ‘ 盡 ’의 의미는 무엇일까? 우리 고유의 영토, 독도에 대한 기록 15세기에 만들어진 우리나라 인쇄본 지도 중 ‘팔도총도( 八道總圖 )’는 독도가 그려 진 가장 오래된 지도이다. “세종실록지리지( 世宗實錄地理志 )”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新增東國輿地勝覽 )”에도 독도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 있다. ‘ 此島 ’가가리키는 것은 무엇일까? ‘ 之 ’가가리키는 것은 무엇일까? 之 : 그것 我 : 나, 우리 朝 : 조정, 조선을 가리킴. 我朝得之於高麗, 풀이 우리 조정이 그것을 고려에서 얻었으니, 1 2 6 3 5 4 주술목보 구조 :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문장의 구조이다. 예 我朝 (주어) 得 (서술어) 之 (목적어) 於高麗 (보어) : 우리 조정이 (주어) 그것을 (목적 어) 고려에서 (보어) 얻었다 (서술어) . 잠깐 VII. 우리 땅, 우리 문화 154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