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중등한문

元日 풀이 설날, 1년이 시작되는 첫날(음력 1월 1일) 年少 : 나이가 어린 사람. 登 : 오르다 → 합격하다 科 : 과거 시험 獲財 : 돈벌이, 재물을 얻다 德談 : 복 받기를 바라는 말 以 …… 爲 ~: ……(으)로 ~ 을 삼다 俗節 : 제삿날 외에 철에 따 라 조상의 사당이나 무덤에 차례를 지내는 날. 上 : ‌위, 오르다 上墓 : 묘에 오르다, 즉 성 묘하다 以 : ~에(시간) 逢親舊年少, 풀이 친구나 나이 어린 사람을 만나면, 秋夕 풀이 음력 팔월 대보름 我國俗節, 上墓以八月十五日, 稱秋夕. 풀이 우리나라의 속절에 8월 15일에 성묘하니 (그날을) 추석이라 칭한다. 以登科進官生男獲財等語, 爲德談, 以相賀. 풀이 ‌‘과거에 합격하게.’, ‘관직에 나아가게.’, ‘아들(자식)을 낳게.’, ‘재물을 얻게.’ 등 의 말로 덕담을 삼아 서로 축하하였다. 설과 추석의 다른 이름 •설은 시간적으로는 한 해가 시작되는 새해 새 달의 첫날인데, 한 해의 최초 명절이 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설날을 ‘원일( 元日 ), 원단( 元旦 ), 세수( 歲首 ), 연시( 年始 )’ 라고 하는 것도 한 해의 첫날임을 뜻하는 말이다. •추석은 한가위 또는 가배( 嘉俳 )라고 하는데, ‘한’은 ‘크다’는 뜻이고, ‘가위’는 ‘가운 데’란 뜻이다. 가배는 신라 유리왕( 儒理王 ) 때 한가위(음력 8월 15일)에 궁중에서 하는 놀이인 ‘가배’에서 나온 말이다. 여인들을 두 무리로 나누어 한 달 동안 베 짜 기 경합을 하여 진 편이 이긴 편에게 잔치를 베풀어 주었다고 한다. 추석은 다른 말로 중추절( 仲秋節 )이라고도 한다. VII. 우리 땅, 우리 문화 148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