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중등한문
“ 余爲大韓獨立而死 요, 爲東洋平和而死 니 死何憾焉 이리오? ” 하고, 遂換着韓服 하고 從容就刑 하니 年三十有二 라. “한국통사” 기유년(1909) 10월에 안중근이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를 저격한 후, ‘대한 독립 만세’를 세 번 외쳤다. 이로 인해 그는 뤼순〔 旅順 〕 감옥에 구금되었다. 재판을 받을 때는 웅변이 도도하고 눈빛이 번개와 같았 다. 그리고 사형이 집행되는 그날……. 余 여 나 獨 독 홀로 死 사 죽다 洋 양 큰 바다 服 복 옷 從 종 좇다 士 사 선비 建 건 세우다 射 사 쏘다 改 개 고치다 造 조 만들다 遺 유 남기다 筆 필 붓 展 전 펴다 示 시 보이다 說 설 말씀 史 사 역사 料 료 세다, 재료 憾 감 한하다 焉 언 어찌, 어조사 遂 수 마침내 換 환 바꾸다 * * * * 새로배울한자 • 한국통사( 韓國痛史 ): 박은식( 朴殷植 , 1859~1925)이 항일 투쟁사를 기록한 책. 학|습|목|표 • 단어의 의미를 바르게 알고 문장 풀이에 활용할 수 있다. • 문장을 바르게 풀이하고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 선인의 발자취를 통해 건전한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학습 목표를 읽고 궁금한 점은? 16 . 나라를 위하여 119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