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86 V. 운문의 세계 한시의 시상( 詩想 ) 전개는 4단계, 곧 ‘기( 起 ) -승( 承 ) -전( 轉 ) -결( 結 )’로 구성되는 것이 일 반적이다. 또한 대부분의 한시는 기구와 승구에서 경치를 묘사하고, 전구와 결구에서 시인의 정서를 읊는 선경 후정( 先景後情 )의 구조를 보이고 있다. 한시의 시상 전개 기구( 起句 ) 주변의 경치 객관적 묘사 〔 先景 〕 시상을 불러일으킴. 승구( 承句 ) 기구의 시상을 이어받아 확대·발전시킴. 전구( 轉句 ) 작자의 정서 주관적 표현 〔 後情 〕 기구와 승구의 시상에 변화를 주어 장면이나 분위기를 비약·전환시킴. 결구( 結句 ) 시상을 마무리하며 주제를 전달함. 전구에서 시상에 변화를 주는 것은 기구와 승구에서 노래 한 것에 대하여 시인이 말하고자 하는 주제( 主題 )를 매듭짓거 나 강조하기 위한 기법이다. 한시의 대우법( 對偶法 )이란 시에서 나란히 이어지는 두 구가 내용상으로나 어법상으로 서로 짝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낱자가 짝이 되는 경우와 단어, 어휘, 구, 절이 짝이 되게 하 는 경우가 있다. 한시의 대우법 春 來 梨花 白 봄이 오니 배꽃이 하얗고 - “추구집( 推句集 )”에서 夏 至 樹葉 靑 여름이 오니 나뭇잎이 푸르구나 대우를 이루는 두 구 중, 앞의 구를 출구( 出句 ), 뒤의 구를 대구( 對句 )라고 한다. 出句 對句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