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79 대단원 마무리 3. ㉠을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풀이해 보자. 술목 구조 문장 풀이하기 餘殃 은 有 의 목적어 문장 끊어 읽기 者 : ~하는 사람(~하는 자) 2~ 4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가) 謂學不暇者雖暇亦不能學矣 .      (나) 積善之家 必有餘慶 , ㉠ 積不善之家 必有餘殃 . (다) ‌ 太山 不讓土壤 . 故能成其大 , 河海 不擇細流 . 故 能就其 ( ㉡ ). 2. (가)의 문장에서 끊어 읽을 부분에 V 표시를 해 보자. 4. (다)의 내용으로 보아 ㉡에 알맞은 한자는? 대구의 문장 파악하기 ① 小 ② 卑 ③ 遠 ④ 深 ⑤ 演 아래 글을 참고하여 학업에 임하는 태도에 대한 자기 성찰의 글을 써 보자. 이치에 의문이 생기면 옛 견해를 버리고 새로운 의견을 받아들여야 한다. 마음에 깨 달은 것이 있으면 즉시 기록해 둘 일이다. 생각을 하지 않으면 마음이 도로 막히게 된다. 대단원 평가 성어의 속뜻 알기 螢雪 : 반딧불과 눈빛 桂林 : 문인 사회를 비유적 으로 이르는 말 1. 다음 성어의 속뜻을 바르게 연결하여 보자. ㉠ 책을 열심히 읽음. ㉡ 겸손함 혹은 대수롭지 않음. ㉢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여 성공함. ● ● ● ⑴ 螢雪之功 ● ⑵ 手不釋卷 ● ⑶ 桂林一枝 ●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