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78 IV. 학문과 수양 대단원 마무리 대단원 정리 배움의 태도를 담고 있는 성어와 문장을 통해 선인들의 삶을 살펴봄으로써 학문하는 바람직 한 자세에 대해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다. * 회남자( 淮南子 ): BC 120년경 한나라 초기에 유안( 劉安 , BC 179~122)이 편찬한 백과전서 * 고문진보 ( 古文眞寶 ): 송나라 말기의 학자 황견( 黃堅 , ?~?)이 편집한 시문선집 * 담헌서( 湛軒書 ): 조선 후기의 실학자 홍대용( 洪大容 , 1731∼1783)의 시문집 11 배움의 태도 12 겸손의 미덕 타인과 어울리며 살아가고자 했던 선인들의 겸손의 미덕을 본받아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 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서경( 書經 ): 오경( 五經 ) 중의 하나로, 중국 상고 시대( 上古時代 )의 정치를 기록한 책 * 여씨춘추( 呂氏春秋 ): 진나라 재상 여불위( 呂不韋 , ?~BC 235)가 편찬한 책 * 사기( 史記 ): BC 90년경 사마천( 司馬遷 , BC 145~86)이 ‘역사와 인간’을 탐구한 저서 13 마음의 수양 심신 수련을 중시했던 선인들의 삶을 통해 본받아야 할 점이 무엇인지, 일상생활에서 유의해 야 할 언행과 자세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 좌전( 左傳 ): 공자( 孔子 )의 “춘추( 春秋 )”를 해설한 주석서 * 순암집( 順菴集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안정복( 安鼎福 , 1712~1791)의 문집 * 주역( 周易 ): 중국 주( 周 )나라 때의 경서 1. 문장의 구조 • 주술목 구조: 주어, 서술어, 목적어로이루어진문장의구조이다. 예 禍福無門 2. 문장의 유형 • 명령문: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구하거나 요청하는 문장이다. 예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 • 평서문: 화자가 청자에게 특별히 요구하는 바 없이 하고 싶은 말을 단순하게 진술하는 문 장이다. 예 滿招損 , 謙受益. 3. 현토 • 한문 문장에 우리말의 토를 다는 것을 말한다. 예 은/는, 에, 이요, 니라 등 한문의 이해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