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75 13. 마음의 수양 積善之家 에 必有餘慶 이요, 積不善之家 에 必有餘殃 이라. “주역( 周易 )” 풀이 ‌선(선한 일)을 쌓은 집안에는 반드시 남는 경사가 있고, 불선(선하지 않은 일)을 쌓은 집안에는 . 현토 : 한문 문장에 우리말의 토를 다는 것을 말한다. 예 ‌은/는, 에, 이요, 니라 등 학습 목표 • 토의 역할을 알고 바르게 읽을 수 있다. • 문장의 구조를 알고 문장 풀이에 활용할 수 있다. • 선인들의 삶의 모습을 본받고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다. 넓히고 키 우 고 자신이 실천할 수 있는 선한 일에는 어 떤 것이 있을지 말해 보자. ‘ 禍福 ’은 왜 사람이 불러들이는 것일까? 作事 에 切須詳審謹愼 하여 不可輕率怠緩 이니라. ““순암집( 順菴集 )” 풀이 ‌일을 할 때에는 반드시 자세히 살피고 삼가고 조심하여 경솔하거나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 切須 : 반드시 不可 : ~해서는 안 된다. 禍福 은 無門 이요, 唯人 이 所召 니라. “좌전( 左傳 )” 풀이 ‌재앙과 복은 , 오직 사람이 부르는 것이다. ‌ 唯 : 오직 所 : ~하는 것 ‌ 주술목 구조 : 禍福 (주어)+ 無 (서술어)+ 門 (목적어): 화복(주어)은 문(목적어)이 없다(서술어).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