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73 12. 겸손의 미덕 오른쪽 그림의 발 모양에 새긴 글씨 지족상락( 知足常樂 )은 노자( 老子 )의 “도덕경( 道 德經 )”에서 유래한 말로 ‘만족함을 알면 항상 즐겁다.’라는 뜻이다. 발 위에 거미를 새겨 넣은 이유는 거미를 중국어로 ‘즈쭈〔 蜘蛛 〕’라고 하는데 ‘만족함을 안다.’라는 지족( 知 足 )과 발음이 같기 때문이다. 또한 동전에 새긴 유오지족( 唯吾知足 )은 중국에서 도장을 새기는 데 주로 쓰이던 말이다. ‘나는 오직 만족함을 안다.’라는 뜻으로 송나라 때 홍매( 洪邁 )의 “용재수필( 容 齋隨筆 )”에 나오는 안분지족( 安分知足 )과 같은 의미이다. 발 위에 거미를 그린 이유 쪽 지 읽기 ① 漆黑 ② 讚頌 ③ 接觸 ④ 受益 ⑤ 憐憫 1. 다음 중 단어의 짜임이 다른 하나는? 실력 다지기 ⑴ 내 친구는 외모는 부드러워 보이지만, 강직한 심성을 지녔다. ⑵ 그는 자기보다 남을 먼저 위하고, 늘 겸손해하는 성품을 지녔다. 2. 아래 한자 카드를 활용하여 각각의 상황에 맞는 성어를 만들어 보자. 辭 內 柔 之 心 讓 外 剛 4. (나)의 ㉠을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풀이해 보자. 3. (가)의 문장에서 끊어 읽을 부분에 V 표시를 하여 읽어 보자. (가) 滿招損謙受益 . (나) ㉠ 欲勝人者 必先自勝 , 欲論人者 必先自論 . (다) ‌ ㉡ 太山 不讓土壤 . 故 能成其大 , 河海 不擇細流 . 故 能就 其深 . 3~ 5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5. (다)를 통해 ㉡에서 배울 수 있는 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배려( 配慮 ) ② 포용( 包容 ) ③ 양보( 讓步 ) ④ 박애( 博愛 ) ⑤ 수용( 受容 ) ‌지족상락( 知足常樂 ) 조형물과 유오지족( 唯吾知足 ) 동전 ▲ 자기 점검 이 단원을 학습하면서 깨닫게된덕목을표시하 고, 느낀점을써보자. 공감 존중 협력 참여 배려 정의 소통 기타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