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어휘넓히기 실력다지기 대단원마무리 놀이 활동 은 대단원의 특징과 연계하여 학생들이 할 수 있는 흥미 중심의 놀이를 소개하였다. 문화를 만나다 에서는 한자 문화권의 문화와 특징 을 알고 이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기 위한 활 동이다. 대단원 정리 는 소단원 학습 결과를 돌아보기 위함 이고, 한문의 이해는 문법 요소를 재점검하기 위한 과정이다. 대단원 평가 에서는 평가 문항에 대한 보완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해당 학습 요소를 적시하였다. 가 한자의결합으로이루어진활용어휘익히기 余 包 反 几 食 女 石 卑 예로부터우리나라는달의운동을기준으로하는 음력을이용하여날짜를세었다.하지만음력은계 절의변화를반영하지못하여농사를짓기에불편한 점이많았다.농사를잘짓기위해서는각각의계절 에따른기온과일조량,강우량등을파악하는것이 중요하기때문이다.이를보완하기위해태양의운동 을반영하는 24절기를두어농사에활용해왔다.고 대농경사회에서부터이미계절의변화를정리한농 사용달력이존재했다고하니,24절기의역사가그만 큼오래되었다고볼수있다. 24절기의활용 쪽지읽기 4. 자신이생각하는명절의의미를써보자. 3. (가)와 (나)에서묘사하고있는것을바르게짝지은것은? ① 송편과떡국 ② 세배와한가위 ③ 설빔과세배 ④ 설날과떡국 ⑤ 설날과한가위 12월 22일경동지( 冬至 ) 12월 7일경대설( 大雪 ) 11월 22일경소설( 小雪 ) 1월 20일경대한( 大寒 ) 1월 5일경소한( 小寒 ) 11월 7일경입동( 立冬 ) 2월 4일경입춘( 立春 ) 8월 7일경입추( 立秋 ) 7월 23일경대서( 大暑 ) 7월 7일경소서( 小暑 ) 6월 6일경망종( 芒種 ) 5월 21일경소만( 小滿 ) 5월 5일경입하( 立夏 ) 4월 20일경곡우( 穀雨 ) 4월 6일경청명( 淸明 ) 6월 21일경하지( 夏至 ) 10월 23일경상강( 霜降 ) 2월 19일경우수( 雨水 ) 8월 23일경처서( 處暑 ) 10월 8일경한로( 寒露 ) 3월 6일경경칩( 驚蟄 ) 9월 8일경백로( 白露 ) 9월 23일경추분( 秋分 ) 3월 21일경춘분( 春分 ) (가) 京都俗 歲謁 ㉠ 家廟 行祭 曰 : ‘ ㉡ 茶禮 ’, 男女年少卑幼者 皆 着新衣 曰 : ‘ 歲粧 ’, 訪族戚長老 曰 : ‘ ㉢ 歲拜 ’. (나) 歲時 作打白餠 切以爲湯 能不傷寒暖而耐久 取其 淨 潔 . 俗謂不食此餠 不得歲云 . 2~ 3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해보자. ㉮        ㉯ ㉰ 2. ㉠~㉢에해당하는사진은? 실력 다지기 曉 碑 朔 刻 飢 望 보기 1. 날짜나시간과관련있는한자를 <보기>에서모두골라보자, 다 세시풍속보고서완성하기 시기 한해의 始作 으로부터 終了 에이르기까지그시기가매우 多樣 하다. 의미 계절별농사일과 密接 한관련을맺고민족의삶속에 綿綿 히 繼承 되었다. 목적 풍요를 祈願 하고 疾病 예방과 厄運 을막는데목적이있었다. 특징 播種 이나 收穫 등과관련된행사가 娛樂性 을띠고 多彩 롭게전개되었다. 경계해야할일 무분별한 盲信 과 踏襲 은경계해야한다. 계승·발전시켜야할점 旦 , 아침,새벽 瞬息間 , 짧은시간 朔 , 초하루,보름 나 날짜나시간과관련된어휘분류하기 보기 曉 頃刻 暫時 望 어휘 넓히기 자기점검 이단원을학습하면서 깨닫게된덕목을표시하 고,느낀점을써보자. 공감 존중 협력 참여 배려 정의 소통 기타 乞食 , 離乳食 食 식 飢餓 飢 기 殘餘 餘 여 蔬飯 飯 반 飽滿 飽 포 卑賤 卑 비 奴婢 婢 비 詩碑 碑 비 賤 천 천하다 婢 비 여자종 碑 비 비석 乞 걸 빌다 乳 유 젖 飢 기 주리다 餓 아 주리다 殘 잔 남다 蔬 소 산나물 飽 포 배부르다 曉 효 새벽 頃 경 이랑,잠깐 暫 잠 잠깐 旦 단 아침 朔 삭 초하루 瞬 순 눈을깜짝이다 了 료 마치다 綿 면 솜,이어지다 繼 계 잇다 祈 기 빌다 播 파 뿌리다 穫 확 거두다 娛 오 즐기다 彩 채 무늬 盲 맹 눈멀다 踏 답 밟다 襲 습 염하다,잇다 几 궤 안석 113 18. 세배와떡국 112 VI. 풍속과지리 가 한자의결합으로이루어진활용어휘익히기 余 包 反 几 食 女 石 卑 예로부터우리나라는달의운동을기준으로하는 음력을이용하여날짜를세었다.하지만음력은계 절의변화를반영하지못하여농사를짓기에불편한 점이많았다.농사를잘짓기위해서는각각의계절 에따른기온과일조량,강우량등을파악하는것이 중요하기때문이다.이를보완하기위해태양의운동 을반영하는 24절기를두어농사에활용해왔다.고 대농경사회에서부터이미계절의변화를정리한농 사용달력이존재했다고하니,24절기의역사가그만 큼오래되었다고볼수있다. 24절기의활용 쪽지읽기 4. 자신이생각하는명절의의미를써보자. 3. (가)와 (나)에서묘사하고있는것을바르게짝지은것은? ① 송편과떡국 ② 세배와한가위 ③ 설빔과세배 ④ 설날과떡국 ⑤ 설날과한가위 12월 22일경동지( 冬至 ) 12월 7일경대설( 大雪 ) 11월 22일경소설( 小雪 ) 1월 20일경대한( 大寒 ) 1월 5일경소한( 小寒 ) 11월 7일경입동( 立冬 ) 2월 4일경입춘( 立春 ) 8월 7일경입추( 立秋 ) 7월 23일경대서( 大暑 ) 7월 7일경소서( 小暑 ) 6월 6일경망종( 芒種 ) 5월 21일경소만( 小滿 ) 5월 5일경입하( 立夏 ) 4월 20일경곡우( 穀雨 ) 4월 6일경청명( 淸明 ) 6월 21일경하지( 夏至 ) 10월 23일경상강( 霜降 ) 2월 19일경우수( 雨水 ) 8월 23일경처서( 處暑 ) 10월 8일경한로( 寒露 ) 3월 6일경경칩( 驚蟄 ) 9월 8일경백로( 白露 ) 9월 23일경추분( 秋分 ) 3월 21일경춘분( 春分 ) (가) 京都俗 歲謁 ㉠ 家廟 行祭 曰 : ‘ ㉡ 茶禮 ’, 男女年少卑幼者 皆 着新衣 曰 : ‘ 歲粧 ’, 訪族戚長老 曰 : ‘ ㉢ 歲拜 ’. (나) 歲時 作打白餠 切以爲湯 能不傷寒暖而耐久 取其 淨 潔 . 俗謂不食此餠 不得歲云 . 2~ 3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해보자. ㉮        ㉯ ㉰ 2. ㉠~㉢에해당하는사진은? 실력 다지기 曉 碑 朔 刻 飢 望 보기 1. 날짜나시간과관련있는한자를 <보기>에서모두골라보자, 다 세시풍속보고서완성하기 시기 한해의 始作 으로부터 終了 에이르기까지그시기가매우 多樣 하다. 의미 계절별농사일과 密接 한관련을맺고민족의삶속에 綿綿 히 繼承 되었다. 목적 풍요를 祈願 하고 疾病 예방과 厄運 을막는데목적이있었다. 특징 播種 이나 收穫 등과관련된행사가 娛樂性 을띠고 多彩 롭게전개되었다. 경계해야할일 무분별한 盲信 과 踏襲 은경계해야한다. 계승·발전시켜야할점 旦 , 아침,새벽 瞬息間 , 짧은시간 朔 , 초하루,보름 나 날짜나시간과관련된어휘분류하기 보기 曉 頃刻 暫時 望 어휘 넓히기 자기점검 이단원을학습하면서 깨닫게된덕목을표시하 고,느낀점을써보자. 공감 존중 협력 참여 배려 정의 소통 기타 乞食 , 離乳食 食 식 飢餓 飢 기 殘餘 餘 여 蔬飯 飯 반 飽滿 飽 포 卑賤 卑 비 奴婢 婢 비 詩碑 碑 비 賤 천 천하다 婢 비 여자종 碑 비 비석 乞 걸 빌다 乳 유 젖 飢 기 주리다 餓 아 주리다 殘 잔 남다 蔬 소 산나물 飽 포 배부르다 曉 효 새벽 頃 경 이랑,잠깐 暫 잠 잠깐 旦 단 아침 朔 삭 초하루 瞬 순 눈을깜짝이다 了 료 마치다 綿 면 솜,이어지다 繼 계 잇다 祈 기 빌다 播 파 뿌리다 穫 확 거두다 娛 오 즐기다 彩 채 무늬 盲 맹 눈멀다 踏 답 밟다 襲 습 염하다,잇다 几 궤 안석 113 18. 세배와떡국 112 VI. 풍속과지리 줄다리기는한국을비롯하여동아시아일원에널리분포 하는놀이로알려져있다.동양에서는예로부터줄다리기를 통해온마을과지역이하나가되는대동( 大同 )의계기로삼 아풍년( 豐 年 )과무병장수( 無病長壽 )를기원하였다.오늘날 에도각나라에서행하는줄다리기에대해알아보자. 힘을 모아 당기는 줄다리기 문화를만나다 놀이 활동 주사위,윷놀이말판,말(색이다른것으로참여자수와동일하게준비) ①주사위로윷을대신한다. ②과제구역에서다음과같은과제를수행하고,과제를수행하지못하면뒤로 한칸후퇴한다. 〔과제 1〕성어3개말하고뜻설명하기 〔과제2〕절기3개말하고뜻설명하기 〔과제3〕우리나라산이름5개말하기 〔과제4〕우리나라민속놀이5개말하기 ③가위바위보를하여이긴사람이먼저주사위를던진다. ④한바퀴를먼저돌아나오는사람이승리한다. 주사위로하는 윷놀이 중국의줄다리기 중국의줄다리기는춘추전국시대초( 楚 )나라수군이전투중에오( 吳 ) 나라의배에갈고리가달린밧줄을던져끌어당긴데에서유래되었다.당 나라때는줄다리기가중국전역에놀이문화로정착되었고,현재에도학 교나군대,사회일반에서널리행해지고있다. 일본의줄다리기 일본을대표하는다이센〔 大仙 〕시의가리와노줄다리기는 ‘가미조’와 ‘시미조’두개마을로나뉘어직경( 直徑 ) 2.2m의수줄과암줄을당기는 행사이다.가미마을이이기면쌀가격이올라가고,시미마을이이기면 그해에풍년이든다는전설이깃든전통줄다리기놀이문화로오늘날까 지행해지고있다. 준비물 활동방법 과제2 과제4 과제3 과제 1 한국의줄다리기 2015년유네스코무형유산위원회( 無形遺産委員會 )는한국의줄다리 기가운데당진의기지시줄다리기를비롯하여5건(영산줄다리기,삼척기줄 다리기,남해선구줄끗기,감내게줄당기기,의령큰줄땡기기)을베트남,필리 핀,캄보디아줄다리기등과더불어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등재하였다. 우리가사는지역의대표적인민속놀이를조사하여발표해보자. 민속놀이조사하기 ▲ 충남당진의기지시줄다리기 ▲ 일본의줄다리기행사 125 대단원마무리 124 VI. 풍속과지리 39 38 II. 나를키우는힘 대단원마무리 대단원 마무리 대단원 정리 현재자신이처한위치와형편을살피고,자신의미래를생각하며새로운의지를다지는일 이중요함을깨달을수있었다. *대학( 大學 ): 유교경전인사서( 四書 )중의하나 03 새로운시작 04 끈기있는노력 끈기있는노력을보여준선인들의삶을본받아건전한가치관을함양하고내면의힘을기 르는데큰도움이되었다. *후한서( 後漢書 ): 중국남북조시대송나라범엽( 范曄 ,398~445)이지은후한의역사서 05 성찰하는자세 자신을바로세우기위해자아를성찰하고매진했던선인들의삶을통해,나를바로세우는 실천방법과자세를배울수있었다. *하남정씨수언( 河南程氏粹言 ): 송나라정이( 程 頤 , 1033~1107)가지은교육사상이론집 06 실천하는습관 매사에실천을중시했던선인들의삶을통해,어려운상황을미리예측하고준비하는자세가 필요하다는것을알수있었다. *육선공주의( 陸宣公奏議 ): 당나라때육지( 陸贄 ,754~805)가간( 諫 )한글을모은책 1. 한문의품사 •단독으로어휘적의미를가지는품사(실사):명사( 志 ),대명사( 己 ),수사( 一 ),동사( 息 ),형 용사( 恥 ),부사( 竟 )등이있다. •문법적의미만을나타내는품사(허사):개사( 以 ),어조사( 之 ),접속사( 則 , 而 ),감탄사등이 있다. 2. 품사의활용 •수사의부사화: 初志一貫 의 ‘ 一 ’은 ‘하나’라는수사이나 ‘한결같이’라는부사로쓰 였다. 3. 단어의짜임 •주술관계:주어와서술어로이루어진단어이다. 예 自 強 , 品貴 •술목관계:서술어와목적어로이루어진단어이다. 예 有備 , 拔本 •술보관계:서술어와보어로이루어진단어이다. 예 登高 •수식관계:수식어와피수식어로이루어진단어이다. 예 仁者 대단원 평가 한문의이해 2. 다음성어의음을쓰고,경계로삼아야할바를써보자. 고사성어적용하기 覆車 :뒤집힌수레 ⑴ 覆車之戒: ⑵ 刻舟求劍: 必先事以防危不臨危而求幸 . 4. 다음문장에서강조하는내용으로옳은것은? 문장의내용이해하기 ① 우정과우애 ② 예방과안전 ③ 노력과의지 ④ 성실과정의 ⑤ 배려와나눔 3. 다음한자풍선으로성어를만들고,그성어를활용하여짧은글을써보자. 성어로짧은글짓기 浩 先 之 範 率 然 垂 氣 뜻에맞는성어찾기 無敵 :적이없음. 務實 :진실에힘씀. 1. 다음과같은의미에해당하는성어를퍼즐에표시해보자. 仁 自 強 不 息 者 務 己 克 無 無 實 移 山 居 敵 力 不 復 安 水 行 屈 禮 思 不 恥 下 問 危 ①어진자는적이없음. ②편안함에있어도위태로움을생각함. ③진실에힘쓰고,행함에힘씀. ④아랫사람에게묻는것을부끄러워하지 아니함. ⑤자기스스로힘써노력하며몸과마음을 다듬기를멈추지않음. 다음 <조건>에따라자신을소개해보자. 조건 1.본대단원에서배운성어2개이상을활용할것 2.글,그림,만화등다양한방법으로소개자료를만들것 쪽지 읽기 는 본문 내용과 연계되는 타 교과 학습 내용, 인성 함양, 가치관 형 성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들을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력다지기 에서는목표중심의평가문제를제시하였고, 학습자스스로핵심 역량을 소화하였는지 점검해 보도록 하였다 . 어휘 넓히기 는 본문을 통해 이미 배운 한자나 어휘를 보다 확장하여, 타 교과 학습 용어나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어휘를 엄선하여 체계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자–어휘–문장’ 단위로 조직하였다.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