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53 09. 바른 마음가짐 內不足者 는 其辭煩 하고, 心無主者 는 其辭荒 이라. “청성잡기( 靑城雜記 )” 풀이 ‌내면이 넉넉하지 않은 사람은 그 말이 번거롭고, 마음에 주관이 없는 사람은 그 말이 거칠다. ‌ 不 : 뒤에 오는 한자의 첫소리가 ‘ㄷ, ㅈ’인 경우 ‘부’로 읽음. ‌ 足 : 발, 넉넉하다 者 : ~사람 학습 목표 • 허사(개사)의 쓰임을 알 수 있다. • 문장을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 문장 속에 담긴 사상을 이해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세울 수 있다. 넓히고 키 우 고 나의마음가짐을친 구에게말해보자. 輕當矯之以重 하고, 急當矯之以緩 이라. “범허정집( 泛虛亭集 )” 풀이 ‌경솔함은 마땅히 신중함으로써 그것을 , ‌조급함은 마땅히 느긋함으로써 그것을 . 輕 : 경솔함 重 : 신중함 急 : 조급함 緩 : 느긋함 ‌ ‌개사 : 명사나 대명사 앞에 놓여 명사류를 서술어와 연결해 주면서 처소, 대상, 도구, 시간, 원인, 비교 등 의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예 ‌ 以 : ~로서, ~로써 말이 번거롭고, 거칠다는 의미는?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