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51 08. 효도하는 마음 • 出告反面 • 昏定晨省 문자도는 효( 孝 )·제( 悌 )·충( 忠 )·신( 信 )·예( 禮 )·의( 義 )·염( 廉 )·치( 恥 ) 등 8자를 주요 대상 으로 각각의 한자 자획 속에 해당 글자의 의미와 관련된 고사나 설화의 내용을 뜻하는 상 징물을 그려 넣은 것이다. 그중 ‘효( 孝 )’ 문자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효( 孝 )’ 자에서 죽순은 맹종( 孟宗 )이 한겨울에 어머니가 평소 좋아하던 죽순이 없음을 슬퍼하는 일화를 나타내고, 귤은 어린 육적( 陸績 )이 원술의 초청을 받아 잔치에 갔을 때, 어머니를 생각하여 귤을 품고 나와 어머니께 드린 일화를 표현한 것이다. 잉어는 왕상( 王 祥 )이 어머니를 위해 얼음 위에 누워서 잉어를 구해 드린 일화를 나타내고, 부채는 황향 ( 黃香 )이 부친의 편한 잠자리를 위해 여름에는 베갯머리에서 부채질을 하고 겨울에는 몸 으로써 이불을 따뜻하게 한 일화를 표현한 것이다. 거문고는 순( 舜 ) 임금이 평소 거문고를 잘 탔으며 특히 효성이 지극했던 일화를 나타낸 것이다. 문자도에 담긴 뜻 쪽 지 읽기 1. 다음 성어의 공통적인 주제를 한자로 써 보자. 실력 다지기 ㈎ 父母之年 不可不知也 . 一則以 ㉠ 喜 一則以 ㉡ 懼 . ㈏ 身體髮膚 受 ㉢ 之父母 , 不敢毁傷 孝之始也 . 2~ 5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2. (가)의 내용으로 보아 ㉠, ㉡과 같이 되는 까닭을 써 보자. 3. ㉢의 쓰임에 유의하여 (나)의 문장을 풀이해 보자. 5. (나)의 내용을 바탕으로 효의 끝은 무엇인지 자신의 생각을 써 보자. 4. (가)와 (나)를 바르게 이해하지 못한 사람은? ① 부모님을 잘 모셔야겠어! ② 부모님 연세를 꼭 알아야겠군! ③ 내 몸을 함부로 하면 안 돼! ④ 나를 소중히 여기는 것도 효군! ⑤ 나를 위해 부모님을 챙겨야겠어! ▲ ‌효( 孝 ) 문자도( 文字圖 ) 자기 점검 이 단원을 학습하면서 깨닫게된덕목을표시하 고, 느낀점을써보자. 공감 존중 협력 참여 배려 정의 소통 기타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