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47 07. 지혜로운 생각 속담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격언이나 잠언으로서 짧고 재치가 담긴 비유적인 표현을 말한다. 이와 같은 속담은 나라마다 문화와 생활 방식에 따라 그 표현이 조금씩 다 르다.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속담의 표현을 비교해 보자. •한국: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 晝語雀聽 , 夜語鼠聽 .〕 •중국: 벽 안의 말을 벽 밖에서 듣는다. 〔 墙 里 说话墙 外 听 .〕 •일본: 벽에 귀가 있고, 미닫이에 눈이 있다. 〔 壁 に 耳 あり, 障子 に 目 あり.〕 한·중·일 속담의 차이 쪽 지 읽기 1. ( ) 안에 알맞은 성어를 어휘 카드에서 찾아 써 보자. 실력 다지기 3. ㉡을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풀이해 보자. 4. (나)에서 경계하는 바로 적절한 것은? ① 안주( 安住 )함. ② 부진( 不進 )함. ③ 허무( 虛無 )함. ④ 분노( 憤怒 )함. ⑤ 불충( 不忠 )함. 2. ㉠이 다음 한자와 결합할 때, 음이 달라지는 것은? (가) 騎馬 欲 ㉠ 率奴 . (나) 鳥久止 必帶矢 . (다) ㉡ 衣視其體 , 名視其貌 . 2~ 4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① 引 ② 統 ③ 輕 ④ 比 ⑤ 食 ⑴ “춘향전”은 한국 고전 문학의 ( )이다. ⑵ 사마의는 제갈공명에 ( )되는 인물이다. 5. 다음 ㉠ ~ ㉣에 알맞은 말을 써 보자. 성어 속담 속뜻 同價紅裳 ㉠ ㉡ 凍足放尿 ㉢ ㉣ 比肩 落點 斷腸 白眉 낮말은 새가 듣고… 자기 점검 이 단원을 학습하면서 깨닫게된덕목을표시하 고, 느낀점을써보자. 공감 존중 협력 참여 배려 정의 소통 기타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