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45 07. 지혜로운 생각 학습 목표 • 한자의 쓰임을 알고 풀이에 활용할 수 있다. • 문장의 구조를 알고 문장 풀이에 활용할 수 있다. • 속담에 담긴 선인들의 삶을 이해할 수 있다. 넓히고 키 우 고 위속담중, 그의미 와 유사한 일을 겪은 적이 있는지 서로 말 해보자. 衣視其體 하고, 名視其貌 라. “이담속찬( 耳談續纂 )” 풀이 옷은 그의 몸을 보여 주고, 이름은 그 모양을 보여 준다. 속뜻 ‌모든 것은 제격에 맞도록 지어야 한다. ‌ 주술목 구조 : 衣 (주어)+ 視 (서술어)+( 其 ) 體 (목적어): 옷은(주어) (그의) 몸을(목적어) 보여 준다(서술어). 鳥久止 면 必帶矢 라. “열상방언( 洌上方言 )” 풀이 새가 오래 머물면 반드시 화살을 맞는다. 속뜻 ‌오래 편안하면 반드시 화가 미친다. ‌ 주술 구조 : 鳥 (주어)+( 久 ) 止 (서술어): 새가(주어) (오래) 머물다(서술어). 화살을 맞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騎馬 면 欲率奴 라. “순오지( 旬五志 )” 풀이 말을 타면, 종을 거느리고자 한다. 속뜻 사람의 욕심은 . 欲 : ~하고자 하다. 率 : 거느리다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