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38 II. 나를 키우는 힘 대단원 마무리 대단원 정리 현재 자신이 처한 위치와 형편을 살피고, 자신의 미래를 생각하며 새로운 의지를 다지는 일 이 중요함을 깨달을 수 있었다. * 대학( 大學 ): 유교 경전인 사서( 四書 ) 중의 하나 03 새로운 시작 04 끈기 있는 노력 끈기 있는 노력을 보여 준 선인들의 삶을 본받아 건전한 가치관을 함양하고 내면의 힘을 기 르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 후한서( 後漢書 ): 중국 남북조 시대 송나라 범엽( 范曄 , 398~445)이 지은 후한의 역사서 05 성찰하는 자세 자신을 바로 세우기 위해 자아를 성찰하고 매진했던 선인들의 삶을 통해, 나를 바로 세우는 실천 방법과 자세를 배울 수 있었다. * 하남정씨수언( 河南程氏粹言 ): 송나라 정이( 程 頤 , 1033~1107)가 지은 교육 사상 이론집 06 실천하는 습관 매사에 실천을 중시했던 선인들의 삶을 통해, 어려운 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육선공주의( 陸宣公奏議 ): 당나라 때 육지( 陸贄 , 754~805)가 간( 諫 )한 글을 모은 책 1. 한문의 품사 •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를 가지는 품사(실사): 명사( 志 ), 대명사( 己 ), 수사( 一 ), 동사( 息 ), 형 용사( 恥 ), 부사( 竟 ) 등이 있다. •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는 품사(허사): 개사( 以 ), 어조사( 之 ), 접속사( 則 , 而 ), 감탄사 등이 있다. 2. 품사의 활용 • 수사의 부사화: 初志一貫 의 ‘ 一 ’은 ‘하나’라는 수사이나 ‘한결같이’라는 부사로 쓰 였다. 3. 단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예 自 強 , 品貴 • 술목 관계: 서술어와 목적어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예 有備 , 拔本 • 술보 관계: 서술어와 보어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예 登高 • 수식 관계: 수식어와 피수식어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예 仁者 한문의 이해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