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刻舟求劍 겉뜻 배에 새기어 칼을 구함. 속뜻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 05 선인들이 귀감으로 삼았던 성찰과 관련된 성어를 읽고, 현재의 ‘나’를 살펴보자. 성찰하는 자세 낡은 생각은 어떤 결과를 가져올까 ? 登高自卑 겉뜻 낮은 곳에서부터 함. 속뜻 모든 일을 순서대로 해야 함. 自 : ~(로)부터 술보 관계 : 登 (서술어)+ 高 (보어): 높은 곳에 오르다. 仁者無敵 겉뜻 어진 자는 적이 없음. 속뜻 어진 사람은 남에게 덕을 베풀기 때문에 적이 없음. 수식 관계 : 仁 (수식어)+ 者 (피수 식어): 어진 자(사람) ‘ 敵 ’이란 어떤 사람들을 말할까 ? 卑 비 낮다 刻 각 새기다 舟 주 배 劍 검 칼 恥 치 부끄러워하다 率 률 비율, ( 솔 ) 앞장서다 垂 수 드리우다 範 범 법, 모범 謀 모 꾀하다 欺 기 속이다 易地思之 겉뜻 입장을 그것을 생각함. 속뜻 상대편의 입장에서 생각하여 봄. 易 : (역) 바꾸다, (이) 쉽다 之 : 그것 30 II. 나를 키우는 힘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