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당( 唐 )나라 시선( 詩仙 )으로 불린 이백( 李白 )이 젊은 시절 학문을 닦기 위해 상의산( 象宜山 )에 들어가 공부를 하다 싫증을 내고 산을 내려왔다. 그가 집으로 향하던 중, 냇가에서 바위에 도끼를 갈고 있는 노파를 발견하고 물었다. “할머니, 지금 무엇을 하고 계십니까?” “바늘을 만들고 있다오.” “하하하, 도끼로 바늘을 만든단 말씀입니까?” “비웃을 일이 아니라오. 중도에 그만두지 않으면 언젠가는 이 도끼로 바늘을 만들 수 있다오( 磨斧作針 ).” 노파의 말에 크게 깨달은 이백은 다시 산으로 올라가 학문에 정진했다고 한다. - “당서( 唐書 )”에서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들다 쪽 지 읽기 3. (나)의 문장을 풀이해 보자. 4. (가)와 (나)에서 공통으로 강조하는 바를 써 보자. 실력 다지기 1. 다음 표의 ㉠~㉣에 알맞은 모양과 음, 뜻을 써 보자. 모양 음 뜻 適 ( ㉠ ) 가다 ( ㉡ ) 적 들추어내다 모양 음 뜻 ( ㉢ ) 경 지경 鏡 경 ( ㉣ ) (가) 愚公移山 (나) 有志者 事竟成也 . 2~ 4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2. (가)를 다음과 같이 도식화할 때 ㉠ ~ ㉢에 알맞은 말을 써 보자. 성어 독음 풀이 속뜻 愚公移山 ( ㉠ ) 우공이 산을 ( ㉡ ). 끊임없는 ( ㉢ ) • 水滴穿石 : 끈기 없이 일을 쉽게 포기하는 사람 보기 • 發憤忘食 : 5. 다음 성어를 교훈으로 삼아야 할 사람을 <보기>와 같이 써 보자. 자기 점검 이 단원을 학습하면서 깨닫게된덕목을표시하 고, 느낀점을써보자. 공감 존중 협력 참여 배려 정의 소통 기타 29 04. 끈기 있는 노력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