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한자 바르게 쓰기 2-5 필순은 한자를 쉽고 바르게 쓰기 위한 일종의 규칙이다. 반드시 필순에 따라 써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필순의 일반적인 원칙을 알면 한자를 바르고 맵시 있게 쓸 수 있다. ⑴ 위에서 아래로 쓴다. 예 ⑵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예 ⑶ 가로획과 세로획이 교차할 때에는 가로획을 먼저 쓴다. 예 ⑷ 좌우 대칭일 때에는 가운데 획을 먼저 쓴다. 예 ⑸ 몸(에운담)을 먼저 쓴다. 예 ⑹ 글자 전체를 꿰뚫는 획은 나중에 쓴다. 예 ⑺ 삐침( 丿 )과 파임( )이 만날 때에는 삐침을 먼저 쓴다. 예 ⑻ 오른쪽 위의 점은 맨 나중에 찍는다. 예 ⑼ 받침( 辶 , 廴 )은 맨 나중에 쓴다. 예 三 川 小 古 國 中 父 代 近 三 川 小 古 國 中 父 代 近 三 川 小 古 國 中 父 代 近 三 川 小 古 國 中 父 代 近 三 川 小 古 國 中 父 代 近 三 川 小 古 國 中 父 代 近 三 川 小 古 國 中 父 代 近 三 川 小 古 國 中 父 代 近 三 川 小 古 國 中 父 代 近 2. 모둠을 구성하여 <보기>와 같이 한자 수수께끼를 만들어 보자. Q 같은 모양의 한자 3개가 모여 만들어진 한자는? A 三 , 品 보기 3. 다음 한자의 음과 뜻, 부수를 사전이나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찾아보자. ⑴ 尋 : ⑵ 謠 : ⑶ 降 : 실력 다지기 1. 자신의 성과 이름을 한자로 쓰고 아래 표를 완성하여 보자. 성과 이름 음과 뜻 한자의 짜임 이름 풀이 자기 점검 이 단원을 학습하면서 깨닫게된덕목을표시하 고, 느낀점을써보자. 공감 존중 협력 참여 배려 정의 소통 기타 17 02. 한자의 기초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