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대단원 정리 대단원 마무리 일식과 월식의 원리를 밝히고자 한 글을 통해, 사물의 이치를 따지고 주장하는 선인들의 과 학 정신을 배울 수 있었다. * ‌담헌서( 湛軒書 ): 조선 후기의 실학자 홍대용( 洪大容 , 1731∼1783)의 시문집 25 과학적인 안목 26 경제를 살리는 힘 조선의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가난한 백성을 구제하고자 했던 박제가의 글을 중심으로, 실학 사상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었다. * ‌북학의( 北學議 ): 박제가( 朴齊家 , 1750~1815)가 청나라의 풍속과 제도를 시찰하고 돌아와서 쓴 책 27 어진 삶 인( 仁 ) 사상을 공손함〔 恭 〕, 너그러움〔 寬 〕, 믿음〔 信 〕, 민첩함〔 敏 〕, 은혜로움〔 惠 〕으로 전개한 글을 중심으로 공자의 핵심 사상을 이해할 수 있었다. * ‌논어( 論語 ): BC 450년경에 만들어진 책으로, 공자의 언행을 기록한 책 * ‌중용( 中庸 ): BC 430년경에 만들어진 유교 경전의 하나 28 의로운 실천 현명한 군주의 도리는 어떤 것이며,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를 담고 있는 글을 통해 유학 사 상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 * ‌맹자( 孟子 ): BC 280년경에 만들어진 책으로, 맹자의 언행을 기록한 책 1. ‌ 품사의 활용 • ‌형용사의 활용: 형용사 뒤에 명사나 대명사가 올 때 ‘~라고 여기다’라는 뜻을 갖기도 하며 명사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예 不遠千里而來 2. ‌ 문장의 유형 • ‌반어 의문문: 상대방의 답을 바라지 않고 의식적으로 묻는 문장의 유형이다. 예 不亦 ~ 乎 : 또한 ~하지 아니한가? 3. 문장의 구조 • ‌주술목보 구조: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로 이루어진 문장이다. 예 子張問仁於孔子 : 자장이(주어) 공자에게(보어) 인을(목적어) 묻다(서술어). 4. 문장 성분의 생략과 도치 • ‌문장 안에서 중복을 피하거나 표현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문장 성분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내용을 강조하기 위해 문장 성분을 바꾸어 쓰기도 한다. 한문의 이해 170 VIII. 실학사상과 철학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