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성선설과 성악설 쪽 지 읽기 실력 다지기 3~ 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無恒産而有 ㉠ 恒心者 惟士爲能 若民則無 ㉡ 恒産 因無恒心 . 苟無恒心 放辟邪侈 無不爲已 , 及陷於罪然後 從而刑之 是 ㉢ 罔民也 . 3. ㉠, ㉡을 풀이해 보자. 4. ㉢을 풀이하고, 어떠한 경우를 말하는지 서로 이야기해 보자. 2. 밑줄 친 ‘ 浩然之氣 ’ 를 기르기 위해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서술해 보자. 1~ 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 敢問 何謂浩然之氣 . ” 曰 : “ 難言也 . 其 ㉠ 爲氣也 ㉡ 至大至剛 以直養而無害 則 ㉢ 塞于天地之間 . 其爲氣也 配義 ㉣ 與道 無 ㉤ 是 餒 也 . ” 1. ㉠~㉤의 풀이로 옳은 것은? ① ㉠ : ~을 위하여 ② ㉡ : 이르다 ③ ㉢ : 가득차다 ④ ㉣ : ~에 ⑤ ㉤ : 옳다 5. 위 글로 보아 군주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 써 보자. 맹자의 성선설 순자의 성악설 인간은 선( 善 )하게 태어났지만 환경의 영향으로 악( 惡 ) 해져 교육을 통해 선( 善 )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윤리 및 정치의 중심 사상으로서, 인간은 본래 선을 따르 는 경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본성을 발전시켜 인의 예지신( 仁義禮智信 )의 5덕을 쌓을 수 있다고 하였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악( 惡 )한 존재이므로 교육을 통해 선( 善 )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윤리 및 정치의 중 심 사상으로서 성선설과 달리, 인간의 본성은 나면서부터 악하므로 그대로 내버려 두면 욕심이 많기 때문에 혼란에 빠져 악을 범하게 됨을 경계하고 있다. 자기 점검 이 단원을 학습하면서 깨닫게된덕목을표시하 고, 느낀점을써보자. 공감 존중 협력 참여 배려 정의 소통 기타 169 28. 의로운 실천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