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나 성어의 의미 바르게 잇기 ‌ ㉠ 首丘初心 ‌ ㉡ 萬事亨通 ‌ ㉢ 莫無可奈 ● ● ● ①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 ● ② 달리 어찌할 수 없음. ● ③ 모든 일이 뜻대로 잘 풀림. ● 가 모양이 비슷한 한자의 활용 어휘 익히기 論孟 孟 猛烈 猛 氣候 候 諸侯 侯 經穴 經 斜徑 徑 어휘 넓히기 다 제자백가의 사상 알아보기 춘추 전국 시대 사상가들은 자신만의 思想 哲學 을 기반으로 一齊 히 일어났다. 그들의 사상은 서로를 牽制 하며 複雜 한 모습을 띠었으나 핵심은 疲弊 한 세상을 바로잡으려는 데 있었다. 그러나 당시 貪慾 에 눈이 먼 제후들은 그 들의 사상을 恣意的 으로 參酌 하거나 排斥 하는 등 利益 에 따라 贊反 으로 나뉘었고, 그럴수록 세상은 混濁 과 混亂 이 愈甚 해졌다. 당시 대표적인 사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道家 法家 墨家 儒家 老莊思想 으로 人爲 를 排除 하고 無爲自然 을 주장함. 玄學 이라고도 불림. 도덕보다 법이 나라를 다 스리는 근본이라고 주장하 며,국가와국민은군주에 隸 屬 되어야한다고주장함. 墨子 의 兼愛說 을 중 심으로 條件 없이 사람들 이 서로 사랑해야 한다고 주장함. 孔孟 의 仁義 를 중시. 公卿大夫 와 백성 사이에 士 라는 계급을 형성하여 사회적안정을도모하려함. 猛 맹 사납다 候 후 기다리다, 기후 穴 혈 구멍 斜 사 비끼다 丘 구 언덕 亨 형 형통하다 奈 내 어찌 哲 철 밝다 齊 제 가지런하다 牽 견 끌다 疲 피 지치다 弊 폐 해지다 貪 탐 탐하다 慾 욕 욕심 恣 자 방자하다 酌 작 대작하다 排 배 물리치다 斥 척 물리치다 贊 찬 돕다, 찬성하다 濁 탁 흐리다 愈 유 낫다, 더욱 莊 장 엄숙하다, 성씨 玄 현 검다 隷 례 붙다 儒 유 선비 卿 경 벼슬 168 VIII. 실학사상과 철학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