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양혜왕, 공손추, 등문공, 이루, 만장, 고자, 진심’의 7편으로 구성된 “맹자언해” ▶ 孟子曰 : “ 養心 은 莫善於寡欲 이라. ” 하니라. “맹자( 孟子 )”, ‘진심 하( 盡心 下 )’ 孟子見梁惠王 한대, 王曰 : “ 叟 不遠 千里而來 하시니 亦將有以利吾國乎 잇가? ” 하니, 孟子對曰 : “ 王 은 何必曰利 잇고? 亦有仁義而已矣 니이다. ” 하니라. “맹자( 孟子 )”, ‘양혜왕 상( 梁惠王 上 )’ “ 敢問 하노니 何謂浩然之氣 잇가? ” 하니, 曰 : “ 難言也 라. 其爲氣也 는 至大至剛 하여 以直養而無害 면 則塞于天地之間 이라. 其爲氣也 는 配義與道 하니 無是 면 餒 也 라. ” 하니라. “맹자( 孟子 )”, ‘공손추 상( 公孫丑 上 )’ 28 의( 義 )에 대한 맹자의 사상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가치관을 세워 보자. 의로운 실천 寡 과 적다 叟 수 늙은이 餒 뇌 곱다, 주리다 164 VIII. 실학사상과 철학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