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子曰 :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 由也 . 女聞六言六蔽矣乎 . ” “유야! 너는 여섯 가지 말과 여섯 가지 폐단을 들어 보았느냐?” 對曰 : “ 未也 . ” (자로가) 대답하여 말하길, “아직 들어 보지 못하였습니다.” “ 居 . 吾語女 . ” “앉아라! 내 너에게 말하리라.” “ 好仁不好學 其蔽也愚 , 好知不好學 其蔽也蕩 , “인( 仁 )을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 폐단이 어리석게 되고, 지혜를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 폐단이 방탕하게 되고, 好信不好學 其蔽也賊 , 好直不好學 其蔽也絞 , 믿음을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 폐단이 해치게 되고, 곧음을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 폐단이 급하게 되고, 好勇不好學 其蔽也亂 , 好剛不好學 其蔽也狂 . ” 그 폐단이 어지럽게 되고, 강함을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아니하면 그 폐단이 경솔하게 된다.” 子曰 공자( 孔子 )께서 말씀하시길 “ 天下國家 可均也 爵祿 可辭也 , 白刃 可蹈也 中庸 不可能也 . ” “천하와 국가를 고르게 할 수 있으며(다스릴 수 있으며) 벼슬과 녹봉을 사양할 수 있으며, 흰 칼날을 밟을 수 있으되 중용은 할 수 없다.” 由 : 공자의 제자, 자로( 子路 ). 이름은 중유( 仲由 ) 女 : 너( =汝 ) 蔽 : 폐단 矣乎 : ~(인)가? 仁 : 공자의 중심 사상으로 ‘어 질다’라는 뜻. 선( 善 )의 근원이 되고 행( 行 )의 기본이 되는 것 을 이름. 好學 : 이치나 시행의 방법을 제대로 배움. 知 : 지혜( 智 ) 絞 : 옥죔, 급함, 꼬임. 亂 : 어지럽다, 방자하다 狂 : 미침, 경솔함, 과격함. 可 : ~할 수 있다. 均 : 고르다 祿 : 벼슬아치에게 주던 금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 白刃 : 흰 칼날(날이 선 칼)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인( 仁 )’은 무엇이 있는지 말해 보자. 넓히고 키 우 고 ‘중용을 할 수 없다’고 한 이유는? 161 27. 어진 삶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