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子張 問仁於孔子 , 자장이 공자께 인에 대해 묻자, 孔子曰 : 공자가 말씀하시길 “ 能行五者於天下 爲仁矣 . ” “천하에 다섯 가지를 행할 수 있으면 인이 된다.” 請問之 (자장이) 청하여 그 내용을 묻자, 曰 : “ 恭寬信敏惠 恭則不侮 , 寬則得衆 , 信則人任焉 , 敏則有功 , 惠則 足以使人 . ” 말씀하시길 “공손함, 너그러움, 믿음, 민첩함, 은혜로움이니 공손하면 업신여기지 않고, 너그러우면 무리를 얻고, 믿음이 있으면 다른 사람이 그에게 일을 맡기고, 민첩하면 공이 있고, 은혜로우면 다른 사람을 부리기에 충분하다.” 子曰 : “ 不患人之不己知 患其不能也 . ”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 근심하지 말고, 그 할 수 없음을 근심하라.” 子張 : 공자의 제자로 이름은 전손사( 顓 孫師 ) 矣 : ~이다. 天下 : 천하, 온 세상 則 : ~하면 …하다. 焉 : 그에게( 於之 ) 足以 : ~할 수 있다, ~하기에 충분하다. 不 : ~하지 마라. 人 : 다른 사람 己 : 자신, 자기 주술목보 구조 : 예 子張 問仁於孔子 : 자장이(주어) 공자께(보어) 인에 대해(목적 어) 묻다(서술어). 학습 목표 • 문장에서 도치된 성분을 찾을 수 있다. • 문장을 바르게 풀이하고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 선인들의 사상을 현재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 민첩하면 왜 공이 있을까? 문장 성분의 도치 :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구문에서 대명사가 목적어로 쓰일 때, 목적 어가 서술어 앞에 온다. 예 不患人之不己知 : 대명사 ‘ 己 ’가 목적어이므로 ‘ 知 ’ 앞에 온다. 159 27. 어진 삶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