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夫財 譬則井也 . 汲則滿 , 廢則竭 . 무릇 재물은 비유하면 우물이다. , 폐하면 (사용하지 않으면) 말라 버린다. 故 不服錦繡 而國無織錦之人 則女紅衰矣 . 그러므로 수놓은 비단을 입지 않아서 나라에 비단옷 짜는 사람이 없으면 여인들의 길쌈 일이 쇠퇴한다. 不嫌 窳 器 不事機巧 而國無工匠陶冶之事 則技藝亡矣 . 찌그러진 그릇을 싫어하지 아니하고 좋은 솜씨를 일삼지 아니하여 나라에 수공업자, 도공, 주물공의 일이 없어지면 재주가 없어진다. 以至農荒而失其法 商薄而失其業 심지어 농사가 황폐해져서 그 (농사짓는) 법을 잃고, 장사가 (이익이) 박하여 그 일을 잃는 지 경에 이르니 四民俱困 不能相濟 사민이 모두 곤궁하여 서로 구제할 수 없게 되고 國中之 寳 不能容於域中 而入於異國 나라 안의 보배가 역 내(나라 안)에 수용되지 못해 다른 나라에 들어가니 人日益富而我日益貧 自然之勢也 . 남들은 날마다 더욱 부유해지나 자연스러운 형세이다. 夫 : 무릇 錦繡 : 수놓은 비단 女紅 : 부녀자들이 하던 길쌈, 바느질, 자수 등을 이르는 말 紅 : (홍) 붉다, (공) 베짜는 일 窳 器 : 찌그러진 그릇 事 : 일, 일삼다 機巧 : 교묘한 솜씨, 좋은 기술 이나 솜씨 工匠 : 수공업자. 공방에서 물 품 만드는 일을 전문적으로 하 는 사람 陶冶 : 도공( 陶工 )과 주물공 ( 鑄物工 ) 技藝 : 재주. 갈고 닦은 솜씨나 기술 四民 : 사농공상( 士農工商 ) 域中 : 역 내 益 : 더욱 나라 안의 보배는 무엇일까? 나라가 부유해지기 위해서 개개인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넓히고 키 우 고 문장 성분의 생략 : 문장 안에서 중복을 피하거나 표현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문장 성분을 생략할 수 있다. 예 汲則滿 , 廢則竭 : 주어인 財 (재물)가 생략된 문장 학습 목표 • 문장에서 생략된 성분을 찾을 수 있다. • 문장을 바르게 풀이하고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을 현재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우물은 왜 마를까? 155 26. 경제를 살리는 길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