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3. 위 글을 읽고 알 수 없는 것은? ① 해를 좀먹는 것이 일식이다. ② 달을 좀먹는 것이 월식이다. ③ 일식과 월식은 동시에 일어난다. ④ 좀먹는 모양은 모두 둥글다. ⑤ 좀먹는 모양으로 보아 지구는 둥글다. 4. 위 글을 통해 배워야 할 점이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자. 예로부터 태양은 제왕을 상징하였다. 그래서 태양을 가리는 일식은 불길한 징조로 인식되었 다. 이처럼 일식은 두려움의 대상이었고 제왕이 빛을 잃는 흉조로 여겼다. 그래서 일식이 일어나 면 달에 잡아먹힌 해를 구하는 ‘구식례’를 치렀는데, 일식이 일어나는 동안 왕을 비롯한 백관들 이 소복을 입고 북을 울리며 활을 쏘는 등 해가 다시 나오기를 기원하는 의식이었다. 이와 같이 일식이 일어나면 한시라도 빨리 가린 해를 구출해야 했으므로, 일식은 옛사람들이 가장 중요하 게 여겼던 천문 현상 중의 하나이기도 했다. 일식, 불길한 징조 쪽 지 읽기 실력 다지기 “ 月掩日而蝕於日 蝕體必 圜 月體之 圜 也 , 地掩日而蝕於月 蝕 體亦 圜 地體之 圜 也 . 然則月蝕者 地之鑑也 , 見月蝕而不識地 圜 是猶引鑑自照 而不辨其面目也 ㉠ 不亦愚乎 . ” 2~ 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2. 밑줄 친 ㉠을 문장의 유형에 유의하여 풀이해 보자. 1. 다음 어휘 카드에서 ( ) 안에 알맞은 어휘를 찾아 써 보자. ⑴ 지진의 진원 바로 위에 있는 지점: ( ) ⑵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한 발전: ( ) 발전 ⑶ 주기적으로 자꾸 되풀이하여 돎: ( ) 震央 循環 順換 潮水 潮力 선인들의 일식에 대한 기록 ▶ 자기 점검 이 단원을 학습하면서 깨닫게된덕목을표시하 고, 느낀점을써보자. 공감 존중 협력 참여 배려 정의 소통 기타 153 25. 과학적인 안목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