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대단원 정리 대단원 마무리 호동 왕자와 낙랑 공주의 이야기를 읽고, 고구려 건국 초기의 역사적 일면을 엿볼 수 있었다. * ‌삼국사기( 三國史記 ): 고려 시대 김부식( 金富軾, 1075~1151) 등이 편찬한 삼국의 역사서 21 낙랑과 호동 이야기 22 굳게 마음을 먹고 학문에 정진했던 양연의 일화를 통해 과거 선비들의 학문하는 자세와 방법에 깊은 감명을 받 을 수 있었다. * ‌대동기문( 大東奇聞 ): 조선 시대 역대 인물들의 전기·일화들을 뽑아 엮은 책 23 자식에게 보낸 편지 아들을 위로하고자 하는 정약용의 편지글을 통해 아버지의 애틋한 마음을 느끼고, 그 가르 침을 깊이 새길 수 있었다. * ‌여유당전서( 與猶堂全書 ): 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용( 丁若鏞 , 1762~1836)의 저술을 정리한 문집 24 왕이 실록을 보려 하매 역사 기록을 담당했던 사관들의 투철한 역사의식과 기록의 객관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 을 수 있었다. *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 조선태조부터철종까지약470년간의역사적사실을편년체로기록한책 2. 문장의 유형 • 감탄문: 슬픔, 기쁨, 놀라움 등의 감정을 나타내는 문장이다. • 의문문: 화자가 청자에게 실제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이다. 3. 산문의 서술 방식 • ‌서정적( 抒情的 ) 서술: 사람이나사물, 사건에대해느낀개인의감정을표현하는글이다. • ‌서사적( 敍事的 ) 서술: 인물의언행이나사건의경과를서술하는글이다. • ‌의론적( 議論的 ) 서술: 사물의 이치를 따지거나 사상을 천명하는 글이다. 1. 품사의 종류와 활용 • ‌인칭 대명사: 사람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예 汝 : 너 • ‌명사의 동사화: 명사가 동사처럼 쓰여 문장에서 그 자체로 서술어가 되기도 한다. 예 妻 : ‘아내’라는 명사이나 ‘시집보내다’라는 동사로도 쓰인다. 한문의 이해 144 VII. 기록의 유산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