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어휘 넓히기 다 가상의 역사 신문 읽기 정조의 파격적 인재 등용 정조 임금이 신하들의 반발을 무 릅쓰고 抄啓 文臣制 를 실시하 였다. 정조 임금은 이 제도가 뛰어 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방법이며, 班常 에 關係 없이 언제든 薦擧 된 인재를 등용하려는 자신의 정치 철학을 구현하는 제도라고 설명하 였다. 지금의 조선은 賤出 , 즉 庶 子 나 얼자들은 그 능력이 뛰어나더 라도 관직에 등용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頗多 하고, 실제로도 그러 한 형편이다. 이 제도에는 인재 발 탁에 장애가 되는 신분 차별을 없애 는 것을 바른 정치 攝理 로 여기는 정조 임금의 의지가 含蓄 되어 있 는 것이다. 능력 있는 자를 朝廷 에 들이는 대신, 黨利黨略 으로 殉利 하거나 祿賜 만 축내는 자를 罷職 하고, 불필요한 追贈 은 금 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조정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백성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가 한자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활용 어휘 익히기 言 登 亥 司 言 羊 己 若 나 <보기>에서 한자를 골라 끝말잇기 鉛 鋼 沈 보기 ① 宗 - 宗中 - 中東 - 東北亞 - 亞 ( ) - ( ) 筆 - 筆談 ② 所 - 所懷 - 懷柔 - 柔軟 - 軟 鐵 - 鐵 ( ) - ( ) 管 ③ 史 - 史草 - 草綠 - 綠陰 - 陰 ( ) - ( ) 滯 - 滯症 該 해 갖추다 券 권 문서 簿 부 장부 諾 낙 허락 昭 소 밝다 鉛 연 납 沈 침 잠기다 亞 아 버금 懷 회 품다 軟 연 연하다 滯 체 막히다 症 증 증세 抄 초 뽑다 薦 천 천거하다 庶 서 무리 攝 섭 다스리다 含 함 머금다 蓄 축 쌓다 廷 정 조정 略 략 간략하다 殉 순 따라죽다 賜 사 주다 罷 파 파하다 該博 該 해 歌詞 詞 사 證券 證 증 簿記 記 기 許諾 諾 락 昭詳 詳 상 142 VII. 기록의 유산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