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上曰 : <중략> “‘ 太宗實錄 ’ 春秋館 今已畢撰 . 予欲見之 何如 . ” 임금이 말하길 <중략> “‘태종실록’을 춘추관에서 지금 이미 편찬을 마치었다. ?” 右議政孟思誠 提學尹淮 同知摠制申檣等 曰 : 우의정 맹사성, 제학 윤회, 동지총제 신장 등이 말하길 “ 今所撰實錄 皆載嘉言善政 “지금 편찬해 놓은 실록은 모두 가언과 선정을 실어(기록하여), 無所更改 況我殿下其有更改之乎 . 바꿔 고칠 것이 없거늘, 하물며 우리 전하께옵서 어찌 바꿔 고칠 것이 있겠습니까? 殿下若見之 則後世之主 必效而更改之 , 전하께옵서 만약 그것을 보신다면 후세의 임금도 반드시 , 史官 亦疑君上之見 必不盡記其事 何以傳信於將來 .” 사관도 또한 군왕이 볼 것을 의심하여 반드시 그 일을 다 기록하지는 않을 것이니, 무엇으로 써 장래(미래)에 믿음을 전하시겠습니까?” 上曰 : “ 然 . ” 임금이 말하길 “그렇구나.” 上 : 임금, 세종 대왕 太宗實錄 : 조선 태종 재위 18년간의 역사를 기록한 책 春秋館 : 조선 시대에 시정 ( 時政 )을 기록하던 관청 已 : 이미 予 : 나(1인칭 대명사) 欲 : ~하고자 하다. 右議政 : 조선 시대 정일품 ( 正一品 ) 관직 提學 : 조선 시대 예문관, 집현 전, 홍문관, 규장각 등의 종이 품( 從二品 ) 관직 同知摠制 : 조선 시대 군사 조직인 오위도총부( 五衛都摠 府 )의 관직 중 하나 嘉言 : 본받을 만한 좋은 말 善政 : 백성을 잘 다스리는 훌 륭한 정사( 政事 ) 更 : (갱) 다시, (경) 바꾸다 況 ~ 乎 : 하물며 ~이겠습니 까? 若 ~ 則 …: 만약 ~한다면 …할 것이다. 史官 : 조선 시대 역사를 기록 하던 관리 君上 : 군왕, 임금 不盡 : 다(모두) ~하지 않다. 何以 : 무엇으로써, 어떻게 將來 : 앞으로, 후세 학습 목표 • 산문의 서술 방식(의론)을 알 수 있다. • 문장의 유형에 따라 글을 바르게 읽을 수 있다. • 역사적 기록에서 현재적 의미와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편찬이 끝난 태종실록을 왜 보려 한 것일까? 역사를 기록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시해야 할 것은 무엇일지 말해 보자. 넓히고 키 우 고 의문문 : 화자가 청자에게 실제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이다. 예 何如 : 어떠한가? 의론적( 議論的 ) 서술 : 사물의 이치를 따지거나 사상을 천명하는 글이다. 예 殿下若見之 則後世之主 必效而更改之 . 임금이 살피면 사관이 역사를 기록하지 못하는 이유는? 141 24. 왕이 실록을 보려 하매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