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寄二兒 두 아이에게 부치다 今汝旣不能赴科 卽科文已忘憂矣 . 지금 너희는이미과거에응시할수없게되었으니, 곧과문에대해이미근심을잊게된것이다. 吾意汝已爲進士矣 , 已爲及第矣 . 나는 너희가 이미 진사가 되었고, 이미 급제하였다고 생각한다. 識字而無科擧之累 與爲進士及第者 奚擇焉 . 글자를 알되(지식을 갖고 있으면서) 과거에 얽매임이 없는 것이 진사가 되고 급제가 된 사람 과 어찌 가려지겠는가(무엇이 다르겠느냐)? 汝眞得讀書時矣 . 너희는 진정 . 寄兩兒 두 아이에게 부치다 我所不施 以望人之先施 是汝傲根猶未除也 . 내가 베풀지 않고 써 남이 먼저 베풀기를 바라는 것은, 이것은 너희의 오만한 근성이 아직도 제거되지 않은 것이다. 玆後留心 於平居無事之日 恭睦愼忠 이후로 유념하여 , 공손하고 화목하며 삼가고 충실하여 務得諸家之歡心 而心中絶不留望報底苗脈 . 여러 집안의 환심을 얻도록 힘써야 하고, 마음속에 절대로 보답을 바라는 실마리도 남기지 않아야 한다. 二兒 : 정약용의 두 아들 정학 연과 정학유 卽 : 곧 科文 : 과거 시험에서 보이던 여러 가지 문체의 글 識字 : 글자를 알다, 지식을 갖 다, 글을 알다, 지식과 판단력 이 있다. 累 : 얽매이다 奚 ~ 焉 : 어찌 ~하겠느냐? 是 : 이것 猶 : 아직도 玆後 : 이후로 留心 : 마음에 두다, 유념하다 平居 : 평소 諸 : 여러 歡心 : 기쁘고 즐거워하는 마 음, 호감을 가지게 하다. 絶 : 절대로 底 : ~하는, ~한(어조사) 苗脈 : 일의 실마리. 곧, 일이 일어날 단서( 端緖 ) 학습 목표 • 산문의 서술 방식(서정)을 알 수 있다. • 글을 읽고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 선인들의 삶을 통해 현재적 의미와 가치관을 발견할 수 있다. 글쓴이가 자식에게 남기고 싶었던 것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넓히고 키 우 고 •인칭 대명사 : 사람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예 汝 : 너, 너희 •서정적( 抒情的 ) 서술 : 사람이나 사물, 사건에 대해 느낀 개인의 감정을 표현하는 글 을 말한다. 예 吾意汝已爲進士矣 . ‘진정 글을 읽을 시간’ 이라고 말한 이유는? 어떻게 하면 오만한 근성을 없앨 수 있을까? 137 23. 자식에게 보낸 편지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