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한자의 전래와 한자 문화권 1-2 오랜 기간 동안 자체의 변천 과정을 겪은 한자는 우리나라와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 아 지역에 전파되어 한자 문화권을 형성하였다. 문자가 없었던 우리나라는 한자를 받아 들여 사용했는데, 대략 漢四郡 設置 이전에 한자가 전래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후 우리만의 고유한 어법에 따라 한자에 음을 달고 懸吐 하여, 言語 習慣 에 따른 문자 생활을 영위하였다. 한글 창제 이후에도 각종 공문서나 주옥 같은 문학 작품들을 한자로 기록하는 등 오랫동안 한자를 통한 문자 생활을 享有 하였다. 한자·한문 학습의 필요성 1-3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어휘는 한자에 바탕을 두고 있어 언어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일상용어와 학습 용어를 비롯하여 유의어와 반의어, 동음이의어의 쓰임에 대해 알아 둘 필요가 있다. • 일상용어: 洗手 , 洗濯 • 학습 용어: 旱害 • 유의어: 那落 - 地獄 , 訪問 - 尋訪 • 반의어: 上京 ↔ 歸鄕 • 동음이의어: 空轉 과 公轉 한자 문화권에 속한 국가들은 한자를 기반으로 자국의 문화를 기록하여 축적하였고, 오늘날에도 한자와 한문 은 사회·문화 전반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한글, 일본의 가나 등과 같은 고유 문자들이 만들어진 이후에도 한자와 한문은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중요한 媒體 로서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중·일 삼국은 한자 문화를 바탕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방면에서 상호 교류를 증진 하고있다. 한자문화권에속한동아시아지도 태양 행성 학습 목표 • 한자의 자체 변천 과정을 알 수 있다. • 한자 문화권을 이해하고 상호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11 01. 한자 문화의 이해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