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3~ 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가) ‌ 舊俗童兒中 一人 隱身一人 搜覓 爲 戲 稱之曰 : ( ㉠ ) (나) ‌ 歲時 作打白餠 切以爲湯 能不傷寒暖而耐久 取其 淨 潔 . 俗謂不食 ㉡ 此餠 不得歲云 . 3. ㉠에 들어갈 놀이의 이름을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말로 적어 보자. 글의 내용 파악하기 ‘ 一人隱身 , 一人搜覓 ’ 하는 놀이 대단원 평가 2. ㉮ 와 ㉯ 의 독음을 써 보자. 일상용어 바르게 읽기 茶 : (차) 차, (다) 차 ‘독도는 우리 땅’ 플래시 몹(flash mob) 댄스를 제작하여 유튜브(youtube)에 올려 보자. 4. ㉡이 가리키는 것을 본문에서 찾아 써 보자. 지시하는 말 찾기 5~ 6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가) ‌ ㉠ 于山 ㉡ 武陵二島 在縣正東海中 . (나) ‌ 白頭山 <중략> 上有 ㉢ 大澤 周回八十里 . 5. ㉠,㉡,㉢의 현재 이름을 써 보자. 문장에 쓰인 지명 파악하기 1~ 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京都 ㉠ 俗 歲謁家廟 行祭 曰 : ㉮ ‘ 茶禮 ’, 男女 ㉡ 年少卑幼者 皆 ㉢ 着新衣 曰 : ‘ 歲粧 ’, ㉣ 訪族戚 ㉤ 長老 曰 : ㉯ ‘ 歲拜 ’. 1. ㉠~㉤의 풀이로 옳지 않은 것은? 한자의 뜻 이해하기 年 : 해, 나이 長 : 어른, 길다 ① ㉠ : 풍속 ② ㉡ : 나이 ③ ㉢ : 입다 ④ ㉣ : 방문하다 ⑤ ㉤ : 길다 6. (가)의 밑줄 친 문장을 풀이해 보자. 문장 바르게 풀이하기 正 : 바로, 바르다 123 대단원 마무리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