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대단원 정리 대단원 마무리 예로부터 지켜 온 세시 풍속 중 설날의 모습을 묘사한 글을 통해, 오늘날까지 전해 오는 우 리의 전통문화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 ): 조선 후기 홍석모( 洪錫謨 , 1781~1850)가 정리한 세시 풍속지 * 청장관전서( 靑莊館全書 ): 조선 후기의 학자 이덕무( 李德懋 , 1741~1793)의 저술 총서 18 세배와 떡국 19 숨바꼭질과 줄넘기 선인들이 즐겼던 전통 놀이의 유래와 방법을 이해하게 되었고, 이러한 놀이를 통해 몸을 단 련했던 선조들의 슬기를 배울 수 있었다. * 해동죽지( 海東竹枝 ): 조선 말 문신이자 서예가 최영년( 崔永年 , 1856~1935)이 지은 책 20 독도와 백두산 독도와 백두산에 관련된 역사적 기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의 영토에 대한 애정과 관 심을 둘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 세종실록지리지( 世宗實錄地理志 ): 조선 전기에 간행된 “세종실록”에 수록된 전국 지리지 * 택리지( 擇里志 ): 실학자 이중환( 李重煥 , 1690~1756)이 현지 답사하여 저술한 우리나라 지리서 2. 산문의 서술 방식 • 묘사적( 描寫的 ) 서술: 산천의 경물이나 지리, 또는 사회의 풍속이나 인정을 기술할 때 주 로 사용한다. 예 俗謂不食此餠 不得歲云. 1. 한문의 품사 • 접속사: 단어와 단어, 어구와 어구, 문장과 문장 등을 서로 이어 주는 역할을 하는 단어 이다. 예 則 : …하면 한문의 이해 122 VI. 풍속과 지리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