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于山武陵二島 在縣正東海中 . 우산, 무릉 두 섬은 현(울진현)에서 바로 가운데 있다. 二島 相去不遠 風日淸明 則可望見 . 두 섬은 서로의 거리가 멀지 않아 날씨가 맑으면 바라볼 수 있다. 白頭山 <중략> 上有大澤 周回八十里 . 백두산은 <중략> 위에 큰 못이 있으니 둘레가 80리이다. 西流爲鴨綠江 東流爲豆滿江 서쪽으로 흘러 압록강이 되고 두만강이 되고 北流爲混同江 , 豆滿鴨綠之內 卽我國也 . 북쪽으로 흘러 혼동강이 되니, 두만강·압록강의 안쪽이 곧 . 于山 , 武陵 : 우리 옛 기록에 는 독도와 울릉도를 다양한 명 칭으로 불렀는데 이것도 그 한 예임. 正 : 바르다(형용사), 바로(부 사) 去 : 가다, 거리 風日 : ‘바람과 볕’이라는 뜻으 로 ‘날씨’를 뜻함. 可 : ~할 수 있다. 白頭山 : 함경도와 중국 동북 지방〔 滿洲 〕의 길림성( 吉林省 ) 이 접하는 국경에 걸쳐 있음. 周回 : 둘레 里 : 마을, 리(거리를재는단위) 爲 : 하다, 되다 鴨綠江 : 우리나라와 중국의 경계를 이루는 강 豆滿江 : 백두산 천지에서 발 원하여 우리나라 동북부를 흐르 는 강 混同江 : 백두산 천지에서 발 원하여 중국 쪽으로 흐르는 강 卽 : 곧 학습 목표 • 허사(접속사)의 쓰임을 알 수 있다. • 문장을 바르게 풀이하고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 기록에 담긴 내용을 바탕으로 올바른 가치관을 세울 수 있다. 외국인에게 독도의 아름다움을 소개하거나 홍보할 수 있는 방법을 말해 보자. 넓히고 키 우 고 접속사 : 단어와 단어, 어구( 語句 )와 어구, 문장과 문장 등을 서로 이어 주는 역할을 하 는 단어이다. 예 則 : …하면 ‘ 大澤 ’의 현재 이름은? ◀ 백두산 천지( 天池 ) 두 섬의 현재 이름은 무엇인가? 119 20. 독도와 백두산 [12한문Ⅰ01-06] [12한문Ⅰ02-06] [12한문Ⅰ04-01] 동쪽 바다 可 (가): ~할 수 있다. 동쪽으로 흘러 우리나라이다  울릉도, 독도  천지 독도에 자생하는 식물 소개하기, 독도 탐방기 SNS에 올리기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