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한자의 자체 변천 과정 1-1 문자가 없던 시대의 사람들은 기호나 그림 등을 통해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전달하였다. 한자는 문자 발생기에 그림 형태를 띠고 있다가 점차 발전하여 갑골 문, 금문, 전서, 예서, 해서 등으로 자체의 변천 과정을 겪어 왔다. 이후 한자는 한국과 중국, 일본의 언어 사용 환경에 따라 자체의 모양을 달리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 은 정자( 正字 )를, 중국은 간체자( 簡體字 )를, 일본은 약자( 略字 )를 사용한다. 거북의 배딱지〔 甲 〕나 짐승의 뼈〔 骨 〕에 기록한 자체 청동으로 만든 祭器 에 鑄物 로 새겨 넣은 자체 진나라 때 한자의 모양을 정리하면서 만들어진 자체 한나라에서 통용된 것으로 전서를 실용적 으로 만든 자체 예서의형태를발전시킨 것으로오늘날사용하는 자체 정자 간체자 약자 總 总 総 한자 모양 갑골문( 甲骨文 ) 금문( 金文 ) 전서( 篆書 ) 예서( 隸書 ) 해서( 楷書 ) 한자 문화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자·한문 학습의 가치를 생각해 보자. 器 기 그릇 鑄 주 주물 總 총 모으다 置 치 두다 懸 현 달다 吐 토 토하다, 토씨 慣 관 익숙하다 享 향 누리다 媒 매 중매, 중개 濯 탁 씻다 旱 한 가물다 那 나 어찌 獄 옥 옥 尋 심 찾다 轉 전 구르다 상형문자를사용한고대이집트신성문자 01 한자 문화의 이해 10 I. 한문의 길잡이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