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童兒 : 아이들. 같은 의미의 한 자가 중복되어 복수형으로 풀이 爲 : 하다, 되다 之 : 그것 且 ~ 且 ~: 또 ~하고, (또) ~ 하다 乃 : 이에, 곧 度 : 번 一 : 한편 趙重峯 : 본명은 조헌( 趙憲 , 1544~1592), 조선 중기의 문신 으로 유학자이자 의병장 使 : ~로 하여금 …하게 하다. 作 : 만들다, 하다 脚氣 : 각기병. 비타민 B의 결 핍에서 오는 영양실조의 하나. 다리가 붓고 맥이 빨라짐. 학습 목표 • 모양이 비슷한 한자를 구별할 수 있다. • 토의 역할에 유의하여 끊어 읽을 수 있다. •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다. 전통 놀이와 오늘날 게임(온라인 게임 등)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이야기해 보자. 넓히고 키 우 고 내가 좋아하는 줄넘기는? 隱身戱 : 몸을 숨기는 놀이 舊俗 童兒中 一人 隱身 옛날 풍속에 아이들 중에 어떤 사람들은 몸을 一人 搜覓 爲 戲 稱之曰 : ‘숨박국질’. 한 사람은 찾으며 놀이를 하니, 그것을 일컬어 ‘숨박국질’이라 한다. 跳索 戲 : 줄 넘는 놀이 舊俗 兒童 以索 執其兩端 且越且跳 乃至千餘度 . 옛날풍속에아이들이줄을가지고그양끝을잡고 곧천여번에이른다. 一云 趙重峯先生 使兒童 作此 戲 한편 이르기를, 조중봉 선생이 아이들로 하여금 이 놀이를 하게 하여 健脚力 消脚氣云 . 名之曰 : ‘줄넘기’. 다리 힘을 튼튼히 하여 각기병을 없앴다고 하더라. 그것을 이름하여 ‘줄넘기’라고 한다. 술래는 어떻게 정할까? 115 19. 숨바꼭질과 줄넘기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