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달의 운동을 기준으로 하는 음력을 이용하여 날짜를 세었다. 하지만 음력은 계 절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여 농사를 짓기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 농사를 잘 짓기 위해서는 각각의 계절 에 따른 기온과 일조량, 강우량 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태양의 운동 을 반영하는 24절기를 두어 농사에 활용해 왔다. 고 대 농경 사회에서부터 이미 계절의 변화를 정리한 농 사용 달력이 존재했다고 하니, 24절기의 역사가 그만 큼 오래되었다고 볼 수 있다. 24절기의 활용 쪽 지 읽기 4. 자신이 생각하는 명절의 의미를 써 보자. 3. (가)와 (나)에서 묘사하고 있는 것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① 송편과 떡국 ② 세배와 한가위 ③ 설빔과 세배 ④ 설날과 떡국 ⑤ 설날과 한가위 12월 22일경 동지( 冬至 ) 12월 7일경 대설( 大雪 ) 11월 22일경 소설( 小雪 ) 1월 20일경 대한( 大寒 ) 1월 5일경 소한( 小寒 ) 11월 7일경 입동( 立冬 ) 2월 4일경 입춘( 立春 ) 8월 7일경 입추( 立秋 ) 7월 23일경 대서( 大暑 ) 7월 7일경 소서( 小暑 ) 6월 6일경 망종( 芒種 ) 5월 21일경 소만( 小滿 ) 5월 5일경 입하( 立夏 ) 4월 20일경 곡우( 穀雨 ) 4월 6일경 청명( 淸明 ) 6월 21일경 하지( 夏至 ) 10월 23일경 상강( 霜降 ) 2월 19일경 우수( 雨水 ) 8월 23일경 처서( 處暑 ) 10월 8일경 한로( 寒露 ) 3월 6일경 경칩( 驚蟄 ) 9월 8일경 백로( 白露 ) 9월 23일경 추분( 秋分 ) 3월 21일경 춘분( 春分 ) (가) ‌ 京都俗 歲謁 ㉠ 家廟 行祭 曰 : ‘ ㉡ 茶禮 ’, 男女年少卑幼者 皆 着新衣 曰 : ‘ 歲粧 ’, 訪族戚長老 曰 : ‘ ㉢ 歲拜 ’. (나) ‌ 歲時 作打白餠 切以爲湯 能不傷寒暖而耐久 取其 淨 潔 . 俗謂不食此餠 不得歲云 . 2~ 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        ㉯ ㉰ 2. ㉠~㉢에 해당하는 사진은? 실력 다지기 曉 碑 朔 刻 飢 望 보기 1. 날짜나 시간과 관련 있는 한자를 <보기>에서 모두 골라 보자, 자기 점검 이 단원을 학습하면서 깨닫게된덕목을표시하 고, 느낀점을써보자. 공감 존중 협력 참여 배려 정의 소통 기타 113 18. 세배와 떡국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