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京都俗 歲謁家廟 行祭 曰 : ‘ 茶禮 ’, 서울 풍속에 새해 집안의 사당에 참배하여 제사 지내는 것을 ‘ ’라 하고, 男女年少卑幼者 皆着新衣 曰 : ‘ 歲粧 ’, 남녀 중에 나이가 적거나 (항렬이) 낮은 어린아이들이 모두 새 옷을 입으니 ‘세장(설빔)’이라 하고, 訪族戚長老 曰 : ‘ 歲拜 ’. 친척과 어른들을 찾아뵙는 것을 ‘세배’라고 한다. 歲時 作打白餠 切以爲湯 새해의 첫머리에 잘라 탕을 만드는데, 能不傷寒暖而耐久 取其 淨 潔 . 춥거나 따뜻해도 상하지 않고 오래 견딜 수 있어, 그 . 俗謂不食此餠 不得歲云. 풍속에 이 떡을 먹지 않으면 나이를 얻지 못한다고 말하더라. 京都 : 서울 歲 : 나이, 새해 謁 : 참배하다 家廟 : 집안의 사당 卑 : 항렬(촌수)이 낮은 사람 族戚 : 같은 성의 一家 붙이와 다른 성의 친척 長老 : 나이가 많고 덕이 많은 사람 歲時 : ①한해의절기나달, 계 절에 따른 때 ② 새해의 첫머리 作打 : 쳐서 만들다. 以爲 : ~을/를 만들다. 謂 : 말하다 得 : 얻다, ~할 수 있다. 歲 : 새해, 나이 不得歲 : 나이를 먹지 아니하 다. 云 : ~라고 하다. 학습 목표 • 산문을 바르게 읽을 수 있다. • 산문의 서술 방식(묘사)을 알 수 있다. • 한문 기록에 담긴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설에 친척들과 함께 하는 일을 말해 보자. 넓히고 키 우 고 왜 새 옷을 입었을까? 새해 아침에 떡국 외에 먹었던 음식은? 묘사적( 描寫的 ) 서술 : 산천( 山川 )의 경물( 景物 )이나 지리, 또는 사회의 풍속( 風俗 )이 나 인정( 人情 )을 기술할 때 주로 사용한다. 예 俗謂不食此餠 不得歲云 . 111 18. 세배와 떡국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