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_고등한문
104 V. 운문의 세계 대단원 정리 대단원 마무리 자연 속에 묻혀 살며 느낀 인생과 세상의 이치를 노래한 한시를 통해 선인들의 멋스런 삶을 엿볼 수 있었다. * 동문선( 東文選 ): 성종의 명으로 서거정( 徐居正 , 1420~1488) 등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시문선집 14 깊은 산속에서 16 임을 그리며 이별의 아픔과 임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한시를 통해, 시인의 삶과 사랑에 대한 정서를 이 해할 수 있게 되었다. * 가림세고( 嘉林世稿 ): 조선 시대 조원( 趙瑗 ) 일가의 시문집으로 부록에 옥봉의 시가 수록됨. 15 산사의 밤에 산사에서 가을밤을 맞이한 시인과 스님의 대화를 통해 호젓한 가을밤의 정취를 감상할 수 있었다. * 송강속집 ( 松江續集 ): 조선 중기 문신 정철( 鄭澈 , 1536~1593)이 지은 “송강집”의 속집 17 정로정을 떠나며 정로정을 떠나며 봄날의 흥취와 서정을 노래한 이백의 시를 통해 계절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었다. * 전당시( 全唐詩 ): 청( 淸 )나라때강희제( 康熙帝 )의칙명에따라당시( 唐詩 )를모아엮은한시집 1. 한시의 종류 • 오언 절구: 한 구의 글자 수가 5자이고, 4구로 이루어진 한시이다. • 칠언 절구: 한 구의 글자 수가 7자이고, 4구로 이루어진 한시이다. 2. 띄어 읽기 • 오언시: 2자, 3자 단위로 띄어 읽는다. • 칠언시: 4자, 3자 단위로 띄어 읽는다. 3. 압운법 • 오언시: 보통 짝수 구의 끝자리에 운자를 단다. • 칠언시: 보통 첫째 구 끝자리를 포함하여 짝수 구의 끝자리에 운자를 단다. 4. 대우법 • 한시의 서로 이웃한 두 구가 짝이 되게 하는 수사법이다. 5. 시상 전개 방식 • ‘기-승-전-결’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선경 후정의 내용 전개가 이루어진다. 한문의 이해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